기사 메일전송
살찐 위암환자 오래산다…수술 후 BMI-생존율 상관관계 첫 증명 - 위암환자 5년생존율, BMI 과체중환자가 정상·저체중환자 보다 높아
  • 기사등록 2016-01-13 17:15:02
  • 수정 2016-01-13 17:16:21
기사수정

일반적으로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장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되지만, 역설적으로 중환자나 만성질환자는 과체중일 경우 정상체중보다 예후가 좋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위암 수술 후 살찐 환자의 생존율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는 암환자의 수술 전 영양관리에만 집중하고 있지만, 수술 후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와 장기생존율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이번 첫 연구결과로, 위 절제 후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는 위암 환자의 수술 후 적극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위암팀 박재명(소화기내과)· 송교영(위장관외과) · 이한희(소화기내과) 교수팀이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위절제술을 한 1,905명의 위암 환자의 체중과 예후의 상관관계를 수술전과 수술 1년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수술 전·후 모두 체질량지수 과체중군이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군에 비해 5년생존율 높았다.

수술 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5년생존율은 저체중군 69.1%, 정상체중군 74.2%, 과체중군 84.7%이었다.

수술 1년 후 전체 환자 중 체중이 확인된 1,418명의 5년생존율은 저체중군 67.5%, 정상체중군 83.6%, 과체중군 93.6%로, 수술 후 체질량지수가 생존률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주목할 만한 결과가 나왔다.

수술 전 저체중군 환자수는 6.4%인 121명, 과체중군은 23.4%인 445명 이었지만 수술 1년후는 저체중군이 21.4%인 303명, 과체중군이 6.9%인 98명에 불과해 위절제술 후 뚜렷한 체중 감소를 확인했다.

환자의 나이, 성별, 수술종류, 위암 병기 등을 보정 분석한 결과, 수술 1년 후 과체중 환자는 정상체중 보다 사망률이 의미있게 낮아, 위암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예후인자임을 검증했다.   

특히 수술 1년 후 과체중군은 전체생존률 뿐 아닌 무재발 생존율과 질병 관련 생존율도 저체중이나 정상체중 군보다 높았다.

체질량지수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으로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교수팀은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18.5 kg/m2 미만이면 저체중, 18.5-24.9 kg/m2이면 정상체중, 25.0 kg/m2 이상을 과체중으로 분류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하며, 2012년 기준 위암환자수는 약 3만명이다.

과거에는 진행성 위암이 대다수여서 “수술 후에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가?”에만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최근 조기위암으로 수술 받고 장기 생존하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잘 먹고 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위암 수술 기법도 발달하여 내시경절제술, 복강경 수술과 같은 최소침습치료로 수술 후의 삶의 질이 상당히 좋아졌다. 하지만 위암 환자의 대부분이 위를 절반 이상 잘라내는 수술이 필요해 위 자체의 부피가 2/3 또는 전체가 줄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위는 섭취한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소장으로 내려 보냄으로써 소화와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위절제술을 받으면 예전처럼 많이 먹을 수도 없다.

또 흡수도 잘 안되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급격한 체중감소 및 영양결핍을 경험하게 된다.

송교영 교수는 “흔히 위암 환자는 수술 이후나 항암치료 과정에서 음식을 먹는 것 조차 고통일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게 음식을 부드럽게 만들거나 짜거나 매운 음식을 피하되 과거 환자가 좋아하고 즐겨 먹던 음식을 평상시와 동일하게 먹도록 가족들이 함께 도와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또 “위암 환자는 수술 후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영양학적인 요구량이 많기 때문에 체질량지수가 높으면 생존율도 높은 것으로 보이며, 이번 연구결과에 따라 암환자의 수술 전뿐 아닌 수술 후 적극적인 영양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3-12.jpg

박재명 교수는 “체질량지수가 높으면 특정 호르몬, 효소 등의 발현이 올라가 생존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 임상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러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어 “위암 수술 후 의료진이 경구로 복용하는 영양보충제나 영양수액 처방하거나 영양팀이 영양요법 식단계획을 제공하는 등 다학제 접근을 통한 영양 중재(nutritional intervention)로 위암환자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유럽암학회 공식저널(European Journal of Cancer 2016;52:129-137, IF 5.417) 2015년 10월호에 게재되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5267286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바이엘, 한국노바티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바이엘 코리아, 한국머크, 한국BMS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17일 세계혈우병의날]주요 제약사들 다양한 캠페인과 기부 등 진행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