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의료기관 해외진출…중국>미국>몽골>베트남>UAE 순 - 문정림 의원,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정책금융기관 간의 협…
  • 기사등록 2015-09-17 12:27:00
기사수정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은 2010년 58개소에서, 2014년 125개소로 2.2배 증가했으며, 주요 진출국은 중국, 미국, 몽골, 베트남 등 동남아, UAE 순이었다.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이 2015 국정감사를 위해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4년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 현황을 분석한 후 “국가별로, 진료과목별, 규모별, 진출형태별 특징을 고려한 전략과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의 분석에 따르면, 해외 진출 주요 진료과목은 피부 및 성형분야 39개소, 한방 23개소, 치과 13개소 등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 난임 2개소, 안과, 이비인후과, 줄기세포 치료, 혈액내과 각 1개소 등 신규진출 과목이 등장하면서 점차적으로 다양화․세분화 된 추세를 보였다.

진료과목별 해외 진출 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의 경우 피부과 및 성형분야 29개소, 연락사무소 7개소, 건강검진 2개소, 하지정맥류 2개소 등이었으며, 미국은 한방 19개소, 치과 10개소 등의 순이었고, 몽골은 연락사무소 5개소, 종합 진료 3개소 등이었다.

베트남 등 동남아의 경우 피부 및 성형분야 7개소, 연락사무소 5개소 등이었고, UAE의 경우 연락사무소 2개소와 함께 재활의학과 1개소, 신경외과 1개소, 종합병원 1개소 등이 특징적이었다.

해외 진출 의료기관의 규모별 현황은 의원 61개소, 연락사무소 21개소, 기타 14개소, 출장 진료 10개소, 병원 8개소, 전문센터 7개소, 기술이전 컨설팅 4개소 등으로 연락사무소, 기타, 출장진료를 제외하면, 의원, 병원, 전문센터, 기술이전 컨설팅 순이었다.

해외 진출 의료기관의 규모별 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은 45개소 중, 의원 19개소, 출장 진료 9개소, 연락사무소 7개소, 전문센터 4개소, 병원 3개소 등의 순이었다.

미국은 35개소 중, 의원 27개소, 몽골은 12개소 중, 연락사무소 5개소, 기술이전 및 컨설팅이 3개소, 베트남 등 동남아는 18개소 중, 의원 5개소, 연락사무소 5개소 등이었으며, UAE는 특징적으로 진출 기관 5개소 중 병원이 3개소를 차지하였다.

해외 진출 의료기관의 진출형태별 현황은 단독 31개소, 라이센싱(브랜드) 26개소, 프랜차이징 25개소, 연락사무소 21개소, 합작 10개소, 위탁경영 5개소, 자선진료소 5개소, M&A 2개소 등의 순이었다.

진출 의료기관의 진출형태별 현황을 국가별로 보면, 중국의 경우 프랜차이징 15개소, 라이센싱(브랜드) 11개소, 연락사무소 7개소, 합작 6개소, 단독 4개소, 위탁경영 2개소 등의 순이었다.

미국은 단독 19개소, 라이센싱 7개소, 프랜차이징 5개소, 연락사무소와 M&A가 각 2개소, 몽골은 연락사무소 5개소, 라이센싱 3개소, 단독 2개소, 합작과 자선진료소 각 1개소, 베트남 등 동남아는 연락사무소 5개소, 라이센싱 3개소, 자선진료소 3개소, 단독 3개소, 합작 2개소, 위탁경영 1개소, UAE는 연락사무소와 위탁경영이 2개소, 라이센싱 1개소를 차지하였다.

문정림 의원은 “국내의료기관의 해외진출이 최근 들어 자본투자가 없는 기술이전 및 전략적 제휴 등 위탁경영 형태로 증가하는 것은 진출 리스크를 줄이면서 현지 안정화를 도모하는데 장점으로 판단된다. 다만, 2013년도 기 진출 111개 기관의 25%가 철수한 것을 고려할 때, 향후 새로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 지원과 함께, 기 진출 의료기관들이 현지화에 성공하고 조기 정착할 수 있는 지원체계 방안을 지속적으로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또 “구체적으로 국내의료기관이 진출한 19개국의 국가별 특성과 전문병원, 중대형 병원급 규모의 최근 선호도, 그리고 기존의 건강검진, 성형외과 분야의 대세에서 난임, 안과, 이비인후과, 혈액내과 등 신규 진출 과목 등의 최근 추세를 국가별로 고려하되, 리스크를 줄이면서 현지 안정화를 도모하는 형태의 진출방안을 모색해야만 하며, 이에 따른 정부부처별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며 “특히 보건복지부 산하의 보건산업진흥원을 중심으로 하여, 건강심사평가원, 건강보험공단, 보건복지인력개발원 등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정책금융기관 등 부처별 기관별 지원정책이 필수적인 만큼, 부처 간 협력체계를 구체적으로 구축하라”고 주문했다.

한편 한국의료시스템 해외진출 연도별, 국가별 진출 현황,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 진료과목별(규모별) 현황,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 국가별, 진출형태별 현황은 (http://medicalworldnews.co.kr/bbs/board.php?bo_table=pds&wr_id=2435&page=0&sca=&sfl=&stx=&sst=&sod=&spt=0&page=0)를 참고하면 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242802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바이엘 코리아, 한국머크, 한국BMS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바이엘, 한국노바티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