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어플 이용한 다이어트, 체중감소에 효과적 - 스마트폰 사용시 2배 이상 체중 감소
  • 기사등록 2015-09-08 16:15:14
  • 수정 2015-09-08 16:15:48
기사수정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다이어트가 체중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병원장 윤강섭 서울의대 교수)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팀은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조비룡 교수팀과 공동으로 대사증후군이 있어 체중 감소가 필요한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이어트의 효과성에 대해 연구했다.

교수팀은 대사증후군이 있는 복부비만 환자 400여 명을 두 그룹으로 나눈 후 한 그룹은 기존 방식대로 비만 상담 후 체중계를 지급하고 체중일지와 식사일지를 작성하게 했다. 또 만보계를 지급하여 매일 보행수를 기재하도록 했다.

다른 그룹은 스마트폰과 체중/체성분측정기, 만보계를 지급하여 매일 전용어플에 식사 내용과 운동량을 입력하게 하고, 체중과 체성분은 측정시 실시간으로 정보가 전송되어 저장토록 했다.

이렇게 입력된 정보들은 실시간으로 대상자들이 확인할 수도 있고, 교수팀에서 확인 후 목표에서 많이 벗어나는 경우 유무선으로 연락을 취하여 건강 습관을 지속토록 지도하였다.

◆스마트폰 어플 사용시 일반 그룹보다 2배 이상 체중 감소
24주 후 두 그룹의 체중 감소 여부를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다이어트 일지를 쓴 그룹은 평균 0.86kg 감소한데 반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그룹의 경우 평균 2.29kg이 감소, 어플을 활용한 다이어트가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또 허리둘레도 일반 그룹은 2.13cm가 감소한데 반해 어플리케이션 활용 그룹은 2배에 가까운 4.16cm를 줄이는데 성공했으며, BMI(체질량지수=체중(kg)/키(m)²)도 어플리케이션 활용 그룹은 0.84만큼 떨어졌지만 일반 그룹은 0.32가 감소하는데 그쳤다.

혈액검사에서는 특히 대사증후군의 주요 요소인 중성지방과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했다.

대사증후군은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인 비만(특히 복부비만),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을 한사람이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은 두 배 이상 높으며, 당뇨병이 발생할 확률은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대사증후군의 원인인 비만을 관리하려면 우선 식습관을 개선하고 신체 활동량을 늘려야 한다. 현재 여러 가지 비만 관리를 위한 다이어트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최선의 방법은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는 방법이 유일한 해답인데,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웠다.

이에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는 “현대인에게 가장 밀접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신의 식습관과 신체활동을 지속적으로 입력하고 확인함으로써 체중 관리의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며 “향후 비만 뿐 아니라 생활습관의 개선 및 유지를 통해 치료가 가능한 질환들에 대해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8월 해외학술지 JMIR mHealth and uHealth(Journal of Medical Internal Research mobile Health and ubiquitous Health)에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4169632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pt>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