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젠자임, 미국신경과학회서 오바지오와 렘트라다 장기간 효과와 안전성 발표 - 오바지오 12년 연장연구 및 렘트라다 4년 추적 결과 중심, 다발성경화증 분…
  • 기사등록 2015-06-22 22:36:06
  • 수정 2015-06-22 22:37:36
기사수정

젠자임 코퍼레이션(이하 젠자임)이 오바지오®(성분명 테리플루노마이드)와 렘트라다®(성분명 알렘투주맙)를 중심으로 다발성경화증 파이프라인에 대한 30개의 최신 데이터를 제67회 미국신경과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 연례학술회의에서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는 경구용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바지오®의 12년 장기 연장연구 결과와 렘트라다® 4년 추적관찰 결과가 포함되어, 오바지오®와 렘트라다®에 대한 장기간 효과 및 안전성과 함께 다발성경화증 치료를 위한 젠자임의 지속적 노력과 다양한 시도를 보여주었다.

이번 미국신경과학회에서 발표된 젠자임의 다발성경화증 연구들은, 선택적 세포 조절(immunomodulation), 뇌 조직의 감소를 막는 신경보호(neuroprotection), 신경의 탈락된 수초를 회복시키는 재수초화(remyelination)에 이르기 까지, 다발성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T세포와 B세포를 모두 타겟으로 한 면역학적 접근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이다.

경구용 다발성경화증 치료제인 오바지오®의 이번 신규 데이터는 최대 12년에 이르는 장기간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오바지오®의 재발 및 장애 지연 효과는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되었으며,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 및 내약성 역시 장기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오바지오®와 디메틸 푸마레이트(dimethyl fumarate) 제제의 주요 연구들을 사후 비교한 분석에서는, 재발 또는 장애 진행 예방을 위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 수(Number Needed to Treat, NNT)를 평가했다.

한 번의 재발 방지를 위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수는 오바지오®와 디메틸 푸마레이트 제제가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장애 진행 예방을 위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수는 디메틸 푸마레이트 제제 연구에서 더 많았다.

다만 이 연구는 두 제제의 중추적 임상연구를 사후 비교한 것으로, 연구 디자인이 다르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특정 치료의 효과 뿐 아니라, 재발과 같은 사건의 빈도가 얼마나 드물게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인 NNT를 비교하였다. 예를 들어 낮은 NNT 수치는 일정 기간 동안 재발을 경험하는 환자의 수가 더 적음을 의미한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이자 대한 다발성경화증 학회장인 김광국 교수는 “서로 다른 임상연구 결과를 사후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NNT라는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다”고 말했다.
고용량 인터페론 베타-1a 피하주사 제제와의 직접 비교 임상(CARE-MS I 및 CARE-MS II)을 통해 유의한 연간재발률 감소를 입증한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렘트라다®는 이번 발표를 통해 뇌 용적 손실 (brain atrophy) 둔화 및 MRI 병변활성도 감소 효과가 4년 동안 유지됨이 확인됐다.

뇌 용적 손실은 다발성경화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가장 파괴적인 병리학적 과정을 나타내는 척도로, 렘트라다®는 신경 보호 작용을 통해 환자의 뇌 조직의 감소를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6.jpg

렘트라다®는 1차년도에 5일 간, 그리고 12개월 후인 2차년도에 3일 간 정맥 주사 투약이라는 혁신적인 용법용량으로 치료 과정이 완료된다.

이번 연장연구 기간 동안 렘트라다® 관련 새롭게 보고된 위험성은 없었다. 렘트라다®와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인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이나 혈구감소증, 감염과 폐렴 등은, 위해 관리 계획에 따른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조기 발견 및 관리가 가능하다.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임상뇌과학과 교수인 알래스데어 콜즈(Alasdair Coles) 박사는 “렘트라다®로 치료받은 환자들이 마지막 치료를 받은 지 3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뇌 위축 완화를 경험했고, 새로운 병변 출현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며, “이와 같은 MRI 결과는 렘트라다®가 다발성경화증의 재발과 장애에 있어서 장기간 지속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알아본 이번 연장연구의 목적과 결과를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젠자임의 다발성경화증 사업부문 대표 빌 사이볼드(Bill Sibold)는 "이번 미국신경과학회에서 발표된 젠자임의 데이터들은, 오바지오®와 렘트라다®가 장기간 치료 지속성에 있어서 의미 있는 과학적 해답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젠자임의 차세대 다발성경화증 치료제에 대한 추가적 발견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다. 이번 발표를 통해 젠자임은 다발성경화증 환자들을 위한 장기적인 헌신을 증명했으며, 앞으로도 다발성경화증의 미충족 치료분야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오바지오®는 2014년 8월, 국내에서 경구용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서는 유일하게 1차 치료제로 급여출시 되었다.

이어서 지난 10월에는 임상 또는 영상적 특징으로 정의된 활성 상태의 재발완화형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 렘트라다®가 시판허가를 받았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3498010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바이엘, 한국노바티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바이엘 코리아, 한국머크, 한국BMS제약 등 소식
위드헬스케어
한국화이자제약
GSK2022
한국얀센
한국MSD 202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