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김연아 선수의 안정적인 스핀은 ‘전정습관화’ 때문 - 끊임없는 회전 훈련으로 뇌에서 어지럼증 억제
  • 기사등록 2014-02-19 13:25:15
  • 수정 2014-02-19 14:00:55
기사수정

빙상 위로 사뿐히 뛰어올라 우아한 회전을 선보이는 김연아 선수의 연기에 온 국민이 빠져들었다. 점프를 해서 두 바퀴 반을 도는 더블 악셀부터 등을 뒤로 젖히는 레이백 스핀까지 3~4분의 짧은 시간동안 여러 번 회전했는데도 어지러워하는 기색조차 없는 김연아 선수, 어떻게 가능한 걸까.

우리 귀 속에는 있는 전정기관은 몸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반지같이 생긴 반고리관 3개로 이뤄져있는데 이 안에 림프액이 있다.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림프액이 함께 움직이고 반고리관 안쪽의 감각기수용세포인 유모세포의 섬모가 이를 감지해 몸의 균형을 잡는 것.

하지만 회전을 여러 번 반복하면 회전이 끝난 뒤에도 유모세포의 섬모가 계속 움직이면서 어지러움을 느끼게 된다. 계속해서 회전하는 놀이기구나 제자리에서 여러 번 도는 게임 등을 했을 때 어지럼증을 느끼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건국대병원 김창희 이비인후-두경부외과 교수는 김연아 선수가 어지럼증을 이기고 흐트러짐 없이 회전을 선보일 수 있는 이유를 ‘전정습관화’ 과정으로 설명했다.

김창희 교수는 “끊임없는 훈련으로 반고리관에서 회전감을 느껴도 이를 뇌가 억제해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몸을 어지럼증에 익숙하게 만든 것이다”며 “어지럼증을 느끼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연습을 통해 어지러운 증상을 뇌가 철저히 억제하고 조절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실제 ‘전정습관화’는 어지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도 쓰인다. 어지러움을 느끼는 상황이나 자세를 찾아내 이를 반복해 경험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처음에는 심한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지만 훈련이 반복되면서 증상이 점차 나아지고 나중에는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게 된다.

어지럼증의 원인은 다양한데 많은 경우 귓속 이상으로 생긴다. 메니에르병이나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이 대표적이다.

김 교수는 “높은 건물 옥상에 올라가 아래를 내려 보거나 새로 안경을 맞췄을 때, 회전목마 등을 탈 때 느끼는 어지러움은 병이 아니라 생리적인 이유다”며 “하지만 평상시에 주변이나 자신이 빙빙도는 느낌을 받거나 귀가 꽉 찬 느낌, 귀에서 소리가 나는 이명현상 등이 자주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을 것”을 조언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9278387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메디톡스, 한국머크, 한국오가논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삼성바이오에피스, 헤일리온,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