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거북목 예방하려면 모니터 높이부터 체크 - 예방 위해 모니터 상단과 눈높이 평행하게, 모니터와의 거리 60~80cm 유지
  • 기사등록 2013-04-30 09:01:32
  • 수정 2013-04-30 09:05:01
기사수정

5월 1일은 노동자의 열악한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국의 노동자들이 연대의식을 다지는 날인 근로자의 날이다. 최근 고용부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한 달 평균 159.9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20일을 일한다고 가정할 때 하루 8시간을 일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루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고 있는 근로자들은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

근골격계 질환이란 무리한 힘의 사용,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목, 어깨, 허리, 팔, 다리의 신경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무 환경도 함께 변화함에 따라 근로자들이 겪는 근골격계 질환도 달라지고 있다.

특히 컴퓨터 및 각종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업무가 많은 사무환경 근로자는 옆에서 봤을 때 목이 거북이처럼 앞으로 빠진 상태가 계속돼 통증을 유발하는 거북목증후군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구로예스병원 이길용 원장은 "사무직 종사들이 겪는 목 부위 질환의 주된 원인은 유해한 사무환경과 업무 습관”이라며 “모니터의 위치가 눈높이와 맞지 않고 거리가 너무 멀면 모니터를 응시하기 위해 고개를 길게 빼게 되어 거북목증후군이 나타나기 쉽다”고 말했다.

고개가 1cm 앞으로 빠질 때마다 목뼈는 2~3kg의 하중을 추가로 받는다. 따라서 거북목이 있는 사람들은 최고 15kg까지 목에 하중이 있을수 있다. 이 때문에 거북목증후군이 생기면 목에 통증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뒷목과 어깨가 결리고 아프기도 하다.

이길용 원장은 “거북목증후군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적을수록 잘 생기는데 요즘에는 컴퓨터와 스마트 기기 사용의 증가로 나이와 성별에 관계없이 자주 발생하는 추세.”라며 “거북목증후군을 치료하지 않고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한 상태가 계속되면 어깨 근막통증증후군이 생겨 바른 자세를 취해도통증이 지속되고, 이 때문에 만성피로와 두통에 시달릴 수 있다”고 전했다.
 
또 “거북목증후군을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질환이나 목디스크는 물론 근육 수축으로 인한 합병증세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방치해선 안된다”고 경고했다.

치료는 발생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우선이다. 대부분 주사치료와 교정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될 수 있으며,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발생하는 질환인만큼 예방을 위해서는 사무실 환경과 업무 자세를체 크하고 바로잡아야 한다.

모니터는 화면상단과 눈높이가 일치하도록 위치시켜 사용자의 시각이 수평선상에서 아래로 15~30도 이내에 머물도록 해야 한다.

모니터와의 거리는 팔을 뻗었을 때 손끝이 닿을 정도의 위치(60~80cm)가 적당하다. 의자와 책상의 높이도 목 건강에 영향을 준다.

키보드를 사용할 때 위팔과 아래팔, 손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책상의 높이는 팔꿈치 높이 수준으로 조정해야 한다.

더불어 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있는 것은 목과 어깨에 무리를 주므로 한 시간마다 휴식과 스트레칭을 실시해 근육을 풀어주고 관절의 가동 범위를 넓히는 것이 좋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728004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메디톡스, 한국머크, 한국오가논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삼성바이오에피스, 헤일리온, 한국화이자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2~3월 제약사 이모저모]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아스텔라스제약,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