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골프엘보’ 여성과 남성 달라 - 남성-허리부상, 여성-팔꿈치와 손목부상 많아
  • 기사등록 2013-04-16 10:18:18
  • 수정 2013-04-16 10:20:36
기사수정

최근 골프업계 조사에 따르면 골프장이나 연습장에 가본 적 있는 국내 골프 인구는 약 483만명 중 여성 골퍼는 35.1%인 170만 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골프를 새로 시작한 30만 명의 남녀 비율은 6대 4로 골프 인구로 유입되는 여성이 상당히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골프에 막 입문한 여성 골퍼가 늘어난 만큼 부상도 늘고 있다. 여성 골퍼는 신체조건과 기술 구사 방법 등에서 남성 골퍼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부상을 자주 입는 신체 부분도 남성과 다르다.

구로예스병원 도현우 원장은 “골프는 척추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운동으로 여성보다 허리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남성들은 허리에 부상을 가장 많이 겪는다. 반면 여성은 몸체의 유연성이 좋은데 비해 상체와 팔의 근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서 팔꿈치, 손목, 어깨 등 상체부상이 더 많다”며 “초보 여성 골퍼 부상의 주된 원인으로 과도한 플레이와 연습, 스윙 폼을 제대로 익히지 않은 경우, 스윙할 때 뒤땅을 치거나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여성 아마추어골프 부상 1위는 팔꿈치의 힘줄에 손상이 생기는 골프 엘보.
 
상과염으로도 불리는 골프 엘보는 근육이 수축하면서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반복적하여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근육이 수축하면서 과도한 부하가 걸려 힘줄에 미세한 파열이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여성 골퍼는 스윙할 때 한쪽 팔로 리드하는 힘이 남성보다 약하기 때문에 팔꿈치 힘줄에 손상을 입기 쉽다.

또 아마추어골퍼는 클럽으로 공이나 땅(뒤땅)을 때릴 때 그 충격이 골퍼에게 그대로 전해지면서 골프 엘보로 발전하기도 한다.

도현우 원장은 “골프 후 물수건을 짜거나 무게감 있는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면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며 “초기라면 휴식으로 충분히 회복될 수 있으나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했는데도 호전이 없다면 인대강화술, 체외충격파 치료, 경피적 인대 성형시술 등의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팔꿈치 부상다음으로 부상을 자주 입는 부위는 손목이다. 여성은 남성보다 그립을 쥐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비거리를 내기 위해서 손과 손목에 힘을 많이 주게 된다.
 
또 초보 골퍼의 경우 잘못된 그립과 스윙 습관이 있는 경우 손목에 통증을 느끼기 쉽다. 골프 후 손목이 아프다면 염좌나 건초염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통증 초기에 조기치료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며 치료 기간에는 과도한 손목 사용은 절대 피해야 한다.

여성 골퍼 부상을 예방하려면 드라이버 샷을 할 때 비거리 욕심을 내서 과도하게 힘을 주지 말아야 한다.

또 아마추어 골퍼일수록 스윙 자세를 체크해서 팔꿈치와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도 중요하다. 라운딩 등 골프 시작 전 손목과 팔꿈치, 어깨 주위의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면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607506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