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4050대 중년여성, 폐경 이후 건망증 심각 - MRA나 MRI 통해 정확한 진단 필요
  • 기사등록 2013-04-16 10:11:58
  • 수정 2013-04-16 10:13:54
기사수정

은평구에 사는 임모(47, 여)씨는 갱년기 증세를 겪으면서 건망증이 심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가스레인지 위에 국을 올려놓고 잊어버린다거나, 집 현관문에 열쇠를 꽂아 놓은 채 외출 하는 등 아찔한 상황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이런 일이 자주 일어나자 혹시 치매 초기 증세가 아닌가 하는 두려움에 병원을 찾았지만 예상과 달리 ‘스트레스성 건망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임 모씨의 경우처럼 최근 본인도 모르게 ‘깜빡 깜빡’ 잊는 증상으로 혹시 ‘치매의 전단계가 아닐까’ 걱정돼 병원을 찾는 주부들이 적지 않다. 기억이 가물가물하고 돌아서면 깜빡 깜빡하는 건망증은 4050대가 되면 누구나 한 두 번쯤은 겪는 흔한 일이다.

30세 이후 뇌세포 감소로 기억력이 감퇴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을 정도라면 증세를 가볍게 여기지 말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건망증은 특히 폐경기 여성들이나 기혈이 많이 쇠해진 노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뇌로 충분한 기혈이 공급되지 못해서 생기는 것이다. 특히 임신과 출산 이후 위축된 사회생활로 인한 단조로운 일상, 육아 스트레스, 생리로 인한 빈혈, 가사로 인한 피로감 등이 여성이 남성보다 건망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건망증과 치매는 기억력 저하라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건망증과 초기 치매 증상은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건망증은 단지 기억이 잘 안 되는 기억력 감퇴 현상으로 먼 과거의 일이나 최근의 일을 깜빡 잊는 단기 기억장애로 치유가 가능한 반면 치매는 인지기능 전체가 손상돼 치유가 힘든 편이다.

다만 노화 현상을 의심할 만큼 나이가 많은 것도 아닌데 건망증이 심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건망증은 진행성 마비, 혈관성 정신장애, 뇌혈관의 기질적 변화, 감염과 중독, 신경쇠약증을 겪을 때 함께 오는 경우도 많다.

이렇듯 기억력은 뇌질환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찾아 MRA나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청담튼튼병원 뇌신경센터 김호정 원장은 “폐경기 이후 심각한 기억력 감퇴 현상으로 병원을 찾는 여성 환자들이 늘고 있다. 피곤하거나 만성질환이 있을 때도 기억력이 저하될 수 있지만 평소 술을 많이 마시는 경우 뇌세포 손상으로 인해 건망증이 발생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뇌에 심각한 문제가 있어 증세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본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36607470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2일 병원계 이모저모③]국립암센터, 일산백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