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상실은 단순한 미용상의 문제가 아니라 저작 능력 저하, 발음 문제, 인접 치아의 이동 등 다양한 구강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전주 바르다김인주치과의원 김인주 원장(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정회원)은 “과거에는 틀니나 브릿지 등이 대표적인 대체 치료법으로 사용됐지만, 최근에는 자연치아에 가장 가까운 구조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임플란트 치료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라고 말했다.

◆임플란트 장점
임플란트는 인공 치근을 잇몸뼈에 심어 치아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고정력이 뛰어나 일상적인 식사와 발음에도 무리가 없다.
김인주 원장은 “특히 개별 치아 단위로 식립이 가능해 주변 치아를 삭제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또한 치조골 흡수를 예방해 장기적인 구강 건강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
최근에는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시술 과정의 정밀도와 안정성이 한층 향상됐다.
김인주 원장은 “3D-CT 촬영과 구강 스캔을 통해 환자의 구강 구조를 세밀히 분석하고 식립 위치와 각도를 미리 계획함으로써 부작용 발생의 위험을 줄이고 자연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임플란트 재료 다양화
또한 임플란트 재료의 다양화로 개인별 맞춤 치료가 가능해졌다.
김인주 원장은 “골 이식이 필요한 경우에도 생체적합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해 회복 속도를 높이고, 최소 절개 수술을 통해 통증과 부기를 줄이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확한 진단+체계적 사후 관리’ 필수
하지만 임플란트는 단순히 인공 치아를 심는 시술이 아니라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사후 관리가 동반돼야 장기적인 성공을 기대할 수 있는 치료다.
김인주 원장은 “구강 위생 관리에 소홀하면 임플란트 주위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스케일링은 필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임플란트는 기능적 복원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치료지만 뼈의 상태나 잇몸 건강, 교합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시술 후에도 정기적인 관리와 점검을 통해 오랫동안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7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