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성인 4명 중 1명만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만성질환·정신건강, 연관성 확인 - 질병관리청,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 결과 발표 - 지역사회건강조사 기반 신체활동 실천율 26.6% 발표 - 코로나19 이후 회복세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
  • 기사등록 2025-07-10 21:00:03
기사수정

우리나라 성인 26.6%만이 중강도 이상 수준의 신체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이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 코로나19 이후 점진적 회복세, 여전히 낮은 실천율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1년 19.7%까지 급락한 후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부터 상승세를 보이기 시작해 2024년 26.6%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성인 4명 중 1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 10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 24.7%에서 2020년 19.8%로 급격히 하락했다가 일상회복과 함께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지역 간 격차는 여전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 젊은 남성일수록 높은 실천율, 농촌이 도시보다 우세

성별로는 남성이 30.2%, 여성이 19.5%로 10.7%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 20대 남성 최고치 기록 

연령별로는 20대가 32.3%로 가장 높고, 70대 이상에서 13.8%로 가장 낮았다.

특히 20대 남성의 경우 42.2%가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 농어촌 지역, 대도시보다 실천율 높아 

지역유형별로는 농어촌 지역이 대도시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실천율을 보였다. 

이는 농림어업직군 등 노동 중심의 직업 구조와 자동차·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생활환경 차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 세종 최다 상승, 광주 최저 상승  

시·도별로는 세종이 11.6%포인트 상승(2021년 17.5%→2024년 29.1%)하여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울산(11.1%포인트), 충북(10.1%포인트)이 뒤를 이었다. 

반면 광주는 4년간 0.9%포인트 증가에 그쳐 가장 낮은 상승폭을 보였다.

◆ 만성질환·정신건강과 밀접한 연관성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활동 실천은 건강상태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고혈압 또는 당뇨병 진단 경험이 없는 성인의 실천율은 26.8%로, 진단 경험이 있는 집단(19.6%)보다 7.2%포인트 높았다.

우울 증상이 없는 인구집단의 실천율은 25.1%로, 우울 증상이 있는 집단(17.3%)보다 7.8%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체활동이 만성질환 예방뿐만 아니라 정신건강 증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일상 속 작은 움직임부터 시작해야”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중강도 이상의 신체활동은 질병 예방을 넘어 건강한 노화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필수 요소”라며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 숨이 찰 정도의 운동까지,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작은 움직임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은 고강도 신체활동을 1일 20분 이상 주 3일 이상 실천하거나, 중강도 신체활동을 1일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하는 것을 의미한다. 

등산,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이 고강도 활동에, 천천히 하는 수영, 배드민턴, 탁구 등이 중강도 활동에 해당한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통해 근거기반 보건사업을 지원하고, 지역 보건사업의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868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비보존제약,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알피바이오, 한국화이자제약,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8월 14일 병원계 이모저모①]가톨릭대, 서울대, 중앙대광명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