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중 갑자기 심한 어지럼증을 느끼면, 심각한 병이 아닐까 걱정하게 된다.
영종도 맑은하늘이비인후과 류인용(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 정회원) 원장은 “아침에 일어날 때나 고개를 움직일 때 어지러움을 느끼다가 가만히 있으면 증상이 잦아드는 현상이 반복된다면, 이석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석증이란?
이석증은 귀 안쪽 이석기관의 이석이 제자리를 벗어나, 반고리관에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반고리관은 신체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관으로, 내부가 액체로 채워져 있다.
이석이 반고리관 내부에 들어가면 평형감각을 자극해, 주위가 빙빙 도는 듯한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류인용 원장은 “이석이 제자리를 이탈하는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외부 충격이나 약물 부작용, 골밀도 감소, 코골이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든 나이대에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중년층 이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석증 증상
증상은 경미한 어지럼증부터 주변이 빙글빙글 돌거나 바닥이 위로 솟구치는 등 공포를 일으킬 정도의 극심한 어지럼증까지 다양하다.
앉았다가 눕거나, 한쪽 방향으로 누워있다가 다른 쪽으로 돌아누울 때 어지럼증이 흔하게 나타난다.
류인용 원장은 “어지럼증은 보통 1분 정도 지속되다가 멈추며, 다시 머리를 움직이면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어지럼증과 함께 메스꺼움이나 구역감, 식은땀 등이 동반할 수 있으며, 균형을 잡기 힘들어 제대로 일어서지 못하거나 쓰러질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석증 진단
진단을 위해서는 먼저, 의사와 상담을 통해 증상을 확인하고, 진찰을 통해 중이염 등의 다른 질환 소견이 없는지 확인한다.
또한, 안진검사를 통해 머리와 몸의 움직임에 따라 나타나는 안구의 반사적인 비정상적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류인용 원장은 “이 외 진단이 불분명한 경우 청력 검사, 평형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석증 치료
이석증은 치료를 받지 않으면 수주이상 어지럼증으로 삶의 질이 크게 낮아질 수 있어, 증상으로 인해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 약물치료, 체위변환이석정복술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체위변환이석정복술은 머리와 몸을 일련의 방향과 각도로 움직여 반고리관의 이석을 제자리로 돌려보내는 체위변환술이다.
정밀 체위변환을 통한 비수술적 정복술로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어, 약물보다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복술을 시행해야 할 이석의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3회 진행 시 약 90%의 치료율을 보인다.
류인용 원장은 “이석증은 귀 안쪽 평형기관의 이석이 제자리를 벗어나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어지럼증 질환이다.”라며, “갑자기 머리를 움직일 때 심하게 빙글빙글 도는 느낌을 유발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석증은 약물보다는 이석을 원래 자리로 되돌리는 체위변환이석정복술을 통해 빠르게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라며, “이석의 위치에 따라 정확한 체위변환이 필요하며, 잘못된 자세나 경험 부족으로 정확히 정복되지 않으면 재발 위험이 높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