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에는 뼈가 약해지고, 골다공증을 겪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야외 활동 중 쉽게 골절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노인성 골절
노인성 골절은 고관절이나 무릎, 발목 등 다양한 부위에 발생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낙상 사고로 인한 손목 골절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어 항상 주의해야 한다.
대전 에스앤케이병원(S&K병원) 신준 원장(대한정형외과학회 정회원)은 “넘어지는 과정에서 땅을 손목으로 짚거나, 손목 관절에 충격이 전해지면서 쉽게 손목뼈가 부러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극심한 통증과 함께 일상생활에 큰 제약을 불러일으켜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노인성 손목 골절
노인성 손목 골절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낙상 사고로, 실내외에서 미끄러지면서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신준 원장은 “나이가 많은 노년층은 젊은 층보다 균형감각이 떨어지고, 반응 속도가 느려지면서 더욱 큰 사고가 발생하기 쉽고 골다공증과 같은 질환에 의해 골밀도가 낮아져 골절이 찾아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손목 골절
손목 골절이 발생한 경우, 해당 부위에 극심한 통증과 함께 관절의 변형이 육안상으로 확인되거나 붓기와 멍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개인에 따라 통증의 정도가 다를 수 있지만 증상을 방치할 경우, 회복이 느려질 뿐만 아니라 관절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신준 원장은 “손목 골절은 골절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을 시행할 수 있는데, 뼈의 손상이 경미하거나 어긋나지 않은 상태에는 보조기나 깁스를 활용한 고정 치료를 실시한다. 그러나 골절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금속판이나 핀을 고정하는 수술을 시행함으로써 골절 치료를 진행해볼 수 있다.”라고 밝혔다.
◆노인성 손목 골절 예방
노인성 골절은 회복 속도가 느린 편이기에 기능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꾸준한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노인성 손목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치는 일이 없도록 항상 안전 수칙을 유의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서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운동 전에는 부상 방지를 위해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을 진행해야 한다.
신준 원장은 “노인성 골절은 한 번 발생하면 삶의 질을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에 병원을 신속하게 찾아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