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렷한 원인 없이 코 뒤로 분비물이 넘어가는 증상에 시달리던 만성 후비루(특발성 후비루, Chronic Idiopathic Postnasal Drip) 환자 다수에서 항히스타민제와 비충혈제 병용치료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산백병원 이비인후과 최익수 교수팀은 3개월 이상 만성적인 후비루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 133명을 분석한 결과, 71.6%의 환자에서 1세대 항히스타민제와 비충혈제 병용요법 시행 후 증상 호전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5.4세, 증상 지속 기간은 평균 36개월로,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었다.
특히 통증이나 불편감의 정도를 평가하는 시각적 평가 척도(VAS)에서 평균 7점(10점 만점)을 기록해, 증상 심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 증상으로는 ▲인두 불편감(73.7%) ▲콧물(36.1%) ▲코막힘(31.6%) ▲기침(3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68%는 증상이 지속적으로, 32%는 간헐적으로 악화와 호전을 반복했다.
교수팀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클로르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등)와 비충혈제(코막힘 완화제)를 병용한 결과, 평균 2주 이내에 증상 호전을 확인했다.
특히 환자의 55.6%는 치료 효과를 ‘우수’ 또는 ‘매우 우수’로 평가했다.
그러나 약물 중단 후 26%에서 증상이 재발했으며, 코막힘을 동반하거나 지속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재발률이 높았다.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항콜린 작용으로 콧물, 재채기, 코가려움증 등에 효과적이며, 비충혈제와 병용 시 코막힘 개선 효과가 강화된다. 다만 졸음, 입마름, 집중력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어 장기복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최익수 교수는 “원인 질환이 명확하지 않은 만성 후비루 환자들은 뚜렷한 진단 없이 병원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아 삶의 질이 매우 떨어진다”며 “이번 연구는 특발성 후비루를 하나의 독립적인 임상 질환으로 인식하고, 효과적인 치료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발성 후비루 환자들도 일정한 치료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진단 기준과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아직까지 관심을 가지고 연구가 이루어진 적 없는 특발성 후비루 환자에 대한 정의를 함으로써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치료 접근법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SCI급 국제학술지 In Vivo(인비보)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특발성 후비루는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 위식도 역류 등 일반적인 원인이 모두 배제된 상태에서 코 또는 부비동의 분비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느낌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