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CAMA 앱 사용 유방암 환자…자기 효능감, 암 적응력 등 향상, 우울증, 불안장애 감소 - 중앙대병원 김선미, 한덕현, 김희준, 김민균 교수팀
  • 기사등록 2025-04-09 05:00:03
기사수정

중앙대병원 디지털암센터에서 개발한 모바일 앱인 ‘CAMA(CAncer MAnager)’ 사용이 유방암 환자의 자기 효능감 및 기타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권정택) 정신건강의학과 김선미 교수와 디지털암센터(정신건강의학과 한덕현, 혈액종양내과 김희준, 유방외과 김민균 교수) 교수팀은 2023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CAMA 앱을 사용한 유방암 환자(34명)와 앱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 치료를 유지한 유방암 환자(32명) 총 66명을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 암 적응력, 삶의 질, 우울증, 불안, 정서 상태, 만족도 등의 척도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했다.

그 결과 CAMA 앱을 사용한 유방암 환자 그룹은 사용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해 암 생존자 자기효능감(CSSES-K), 삶의 질(WHOQOL-BREF), 암에 대한 심리적 적응도(K-Mini-MAC) 척도에서 더 나은 효과를 보았으며, 우울증(PHQ-9), 불안장애(GAD-7), 폐경기 정서증상(MESQ)은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CAMA 앱 사용 그룹에서는 도움 및 지지 추구에 대한 자기효능감(CSSES-K) 점수가 38.2점에서 39.9점으로 향상된 것에 반하여, 비사용 그룹에서는 37.2점에서 34.5점으로 저하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CAMA 앱 사용 그룹에서는 심리적 웰빙과 관련된 삶의 질(WHOQOL-BREF) 척도 점수가 13.1점에서 13.8점으로 소폭 호전된 반면, 비사용 그룹에서는 14.0점에서 12.7점으로 감소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암에 대한 심리적 적응도(K-Mini-MAC) 척도 소항목 중에서 불안 몰두 점수는 CAMA 앱 사용 그룹(22.2점에서 19.2점으로 감소)에서 비사용 그룹(20.4점에서 19.9점으로 소폭 감소)에 비해 호전되는 경과를 보였다.


긍정적 태도 점수는 CAMA 앱 사용 그룹(27.3점에서 27.8점으로 소폭 향상)에서 비사용 그룹(27.2점에서 25.3점으로 저하)에 비해 호전되는 경과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또한, CAMA 앱 사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 암환자의 앱 사용이 암 치료에 있어 신뢰감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CAMA(Cancer Manager) 앱 콘텐츠 이미지


교수팀은 암 환자 자가 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인 CAMA가 유방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암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지게 하고, 우울감과 불안 등을 호전시켜 주는 것을 확인했다. 


김선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디지털 치료제로써의 CAMA+ 앱이 정서적 긍정 효과를 입증한 연구로써 암 환자의 다학제 치료에 있어 더욱 더 향상된 치료 성과를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지속해 앱의 향후 소통 기능 추가 및 콘텐츠의 지속적 확장 등의 개선을 통해 다양한 암 치료에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앙대병원 디지털암센터 CAMA+ 앱의 개발은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국립암센터의 암생존자헬스케어연구사업 지원으로 이뤄졌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헬스케어과학(HEALTH CARE SCIENCES & SERVICES) 분야 상위 20%에 해당하는 SCIE급 국제학술지 ‘JMIR mHealth and uHealth’ 최신호에 ‘유방암 자가 관리 모바일 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평가(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Mobile App for Breast Cancer Self-Management on Self-Efficacy: Nonrandomized Intervention Trial)’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편 중앙대병원은 지난 2022년 3월 ㈜엔씨소프트와 암 환자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를 위한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암 관련 디지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암 시기별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프로토콜을 개발해 암 관리 디지털시스템을 구축했다.


이어 온라인에서 암 환자 관리를 위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디지털시스템인 ‘디지털암센터(Digital Cancer Agent Monitoring Center; D-CAM Center)’를 운영중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687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