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성균관의대 안명주 교수, 서울대병원 최홍윤 교수 등 제18회 아산의학상 시상
  • 기사등록 2025-03-18 22:50:03
기사수정

아산사회복지재단(이사장 정몽준)이 18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제18회 아산의학상 시상식을 열고, 기초의학부문 수상자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포드대 생명공학 및 정신의학·행동과학부 교수(53세)에게 미화 25만 달러, 임상의학부문 수상자 안명주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63세)에게 3억 원을 각각 수여했다.


만 45세 미만의 의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젊은의학자부문 수상자인 박용근 KAIST(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44세), 최홍윤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38세)에게는 각각 5천만 원 등 4명에게 총 7억 7천만 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칼 다이서로스 교수

기초의학부문 수상자인 칼 다이서로스 교수는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이용해 생체 조직의 세포들을 빛으로 제어하는 유전학 기술인 광유전학(Optogenetics)의 창시자로서 감각, 인지, 행동의 세포적 기반을 이해하고 뇌와 행동 간의 연결 기전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았다.


▲안명주 교수

임상의학부문 수상자인 안명주 교수는 폐암·두경부암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로 암 치료 성적 향상을 위해 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제의 신약 임상시험을 주도적으로 수행했으며 폭넓은 중개연구를 통해 종양학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박용근 교수

세포 및 조직을 염색 없이 고해상도 3D 영상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홀로토모그래피’ 원천 기술을 개발해 바이오이미징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최홍윤 교수 

핵의학 분자영상과 공간전사체 데이터를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해 의료영상과 융합하는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한 연구를 통해 의학적 진단과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정몽준 이사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수상자 네 분의 훌륭한 업적들은 인류의 건강한 삶을 지켜줄 전 세계 의과학의 자랑스러운 자산이다. 아산재단은 우리나라의 의과학 발전과 인류의 건강을 위해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아산사회복지재단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2008년 아산의학상을 제정하고, 지금까지 총 57명(기초의학부문 15명, 임상의학부문 16명, 젊은의학자부문 26명)에게 아산의학상을 수여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648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macmaca2025-03-19 16:48:02

    2차대전을 통하여 장개석 총통때문에, 한국이 독립된 국제법상의 과정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은 공산국가가 된게 맞습니다. 일본에 대한 반일정서 가지고도 공존해 왔는데, 균형외교를 취해야 할것입니다. UN적국, 전범국에, 패전국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일선전포고한 적국 일본과, 주권없이 준동하는 일제잔재 학교와, 일제 잔재 강제 포교종교 및 그 추종세력에 대한 반일정서가 가장 클것. 토착왜구라고도 함. UN가입위해, 중국.소련의 교차승인으로, 남북이 UN에 동시가입하고, UN에 가입하지 못해, 세계인들이 잘 모르던 나라 대한민국의 국력이 신장된 부분이 아주 강합니다. 중국과의 경제교역으로, 1인당 GDP가 왜구 불교 Monkey보다 높아진게, 최근 몇년 일입니다. 신기한 것 같지만, 중국같은 경제대국이 한국물품을 대대적으로 수입해주니까, 생긴 결과입니다.

    @한편,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겪었던 사회상중 하나임. 해방당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의 국립대안에 대한 전국적인 반대투쟁. 서울대생들의 등록거부, 자퇴에도, 미군정에 재 등용된 총독부 관리들과, 자문그룹이 이를 강행시키고, 일제 잔재 대중언론도, 서울대가 국립대니까, 성균관대보더 더 좋다고 성균관대를 격하해옴. 주권.학벌도 없이 한국에서 축출해야 할 서울대나 기타 일제 잔재인데도...그리고 4,19, 한일 수교에 대한 전국적인 반대, 1970~80년대의 군부독재에 대한 대학생들의 저항. 윤석렬의 불법계엄에 대한 저항의 과정을 가진 한국 대학들.

    @소정의 성과 기대합니다. 필자는 성균관대 출신입니다. 대학관련, 대중언론도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더군요. 그래서 합법적 인터넷 미디어인 댓글로 의견제시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같은 자유 민주주의 나라에도 학벌 존재합니다. 동아시아나 서유럽은 대학 역사가 오래되어, 세계사나 국사, 국제법.헌법.주권등을 종합하여 자격이 존중됨.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 서강대는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이 뒤로 倭서울대.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학벌없지만, 미군정때 성균관 약탈하기 위한, 하위법과 대중언론.사설입시지때문에, 다른 대학들이 서울대 이기기 어려울것.@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대학이던 성균관(미군정때 향교재산으로 지원법률 제정되어 법제화된 성균관.성균관대).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서강대는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상위규범인 국제법,한국사, 헌법, 세계사,주권기준이라 변하지 않음. 이 뒤로 주권.자격.학벌없이, 성씨없는 일본 점쇠(요시히토,히로히토등)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그뒤 서울대 미만 전국 각지역 대학들. https://blog.naver.com/macmaca/223528462438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