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3년간 국내 외상성 척수 손상 환자 동향이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조평구·노성현 교수팀(김상현 교수)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에 최근 13년간(2008년~2020년) 등록된 국내 외상성 척수 손상 환자의 전수 조사를 통해 발생률, 치료방식, 동반질환, 입원기간(재입원) 등을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 국내에서 발생한 외상성 척수 손상 환자 수는 약 3만 979명이었다.
이들 대상자를 수술 그룹과 비수술 그룹으로 나눠 보면, 각각 7,719명(25%), 2만 3,260명(75%)으로 전체 환자의 1/4이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부위는 경부(64%), 요추·천골(18%) 및 흉부(17%) 손상 순으로, 목부위 손상 수술이 가장 많았다. 또 수술방법은 전방 유합(38%), 후방 감압(33%), 후방 유합(21%) 순이다.
이외 연령대는 40~59세(41%), 60~79세(35%), 20~39(15%) 순이며, 남성(68%), 여성(32%)로 남성이 2배 이상 더 많았다.
수술 건수를 살펴보면, 2008년 535건에서 2020년 915건으로 증가 추세였다. 평균 입원 기간은 22일이었다.
입원 기간은 △ 성별 △ 나이 △ 찰슨 합병증 지수(CCI, 기저질환 수치화) 등의 영향을 받아, 노령일수록, 흉부 척추 손상, 더 높은 CCI, 남성 환자가 더 장기간 입원을 했다.
특히 재입원율을 보면 △40-59세 연령대, △요추·천골 척추 손상 △CCI 점수 2점 이상(기저질환 최소 2가지 이상) △여성 등의 비율이 높았다.
제 1저자인 노성현 교수는 “이전에도 국내에서 척수 손상 환자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이번처럼 수술과 비수술로 나눠 비교한 연구는 없었으며, 특히 수술적 방법의 경향을 분석한 것은 처음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라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조평구 교수는 “산업의 발달 및 다양한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인구 증가로 갑작스러운 사고, 낙상 등에 의한 외상성 척수 손상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라며, “최근 13년간의 환자 전수 분석을 통해 입원기간 및 재입원 가능성 등을 예측하는 등 보다 효과적인 치료 계획 및 의료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Traumatic spinal cord injury in South Korea for 13years (2008-2020)(한국에서의 13년간(2008-2020) 외상성 척수 손상: 후향적 분석)’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편 척수는 척추 내 위치한 중추신경이다. 외상성 척수 손상은 말그대로 선천적인 문제가 아닌 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활동 등 외부 충격에 의해 척수가 손상된 경우다.
척수는 경부(목)부터 흉부(등), 요추부(허리)까지 이어져 있으며, 손상 위치에 따라 운동, 감각 등의 저하에서 전신 마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