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에서 교무회의에 안건 재심의를 요청한 차정인 총장이 임기 만료로 10일 퇴임했다.
의대 증원을 위한 학칙 개정안이 한 차례 부결됐지만 총장의 부재가 의대 증원과 관련한 학칙 개정에 어떤 영향을 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총장 권한대행체제 속 변수 많아
부산대는 올해 초 후임 총장 임용 후보자 1순위로 기계공학과 최재원 교수, 2순위에 화학교육과 진성호 교수가 선발됐다.
하지만 아직 교육부가 차기 총장을 지명하지 않아 당분간은 교육부총장이 권한을 대행할 예정이다.
또한 오는 21일로 예정된 교무회의 전 교육부가 차기 총장 지명을 서두를수도 있어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결국 재심의 결과는 다양한 변수로 장담할수 없는 상황이다.
◆부산대 의대생들 “정부의 졸속 행정을 저지해 달라”
이런 가운데 부산대의대생들은 10일 성명을 통해 “정부의 졸속 행정을 저지해 달라"며 의대 정원 증원 학칙 개정안 부결에 동참을 호소했다.
의대생들은 ”부산대 의대 학장과 교수협의회에서는 (교수들을) 직접 한분 한분 만나 부결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대학 평의원과 교수 평의원 그리고 교무위원들이 사태의 심각성과 의대의 사정을 이해해줬다.“라고 설명했다.
(사진 : 지난 7일 열린 부산대 의대생 피켓 시위,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의대생들은 ”현재 정부는 학칙 개정을 부결한 부산대에 각종 불이익을 주겠다며 압박한다. 실제 부결된 다음 날인 지난 8일 교육부는 시정명령 및 학생 모집 정지 등 강압적 행정조치를 예고하며 재심의를 요구했다.“라며, ”교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한 결과를 짓밟고 억압하는 교육부의 행태는 현재의 정책 추진이 얼마나 강압적이고 보복적인지 시인하는 꼴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원 증원을 위한 학칙 개정을 앞둔 대학들에 호소한다. 정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진정 학생들과 나라를 위해 정부의 졸속 행정을 저지해 주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