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소아발달 영향 연구를 분석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주영수) 감염병임상연구센터 이경신 주임연구원(교신저자), 최윤영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김연재 감염내과 전문의, 김명희 예방의학과 전문의(정책통계지원센터장), 김유선 교수(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이나미 교수(서울대학교병원 공공진료센터) 공동연구팀이 건강보험공단의 영유아 건강검진 자료(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연구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이전(2018. 4. ~ 2019. 12. )과 코로나19 팬데믹 시기(2020. 4. ~ 2021. 12.)에 30-36개월 영유아검진을 받은 아동 각각 56만 8,495명, 51만 2,388명의 검진결과로부터 발달지연율을 비교 분석했다.
또한, 의료급여수급권자 아동 및 건강보험가입자 아동 사이에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한 발달지연율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했다.
이번 연구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30-36개월 아동의 발달지연율은 17.2%로 팬데믹 발생 이전 기간인 16.2%보다 높았다.
특히 ‘의사소통’ 영역의 발달지연 위험은 약 21%, ‘사회적 상호작용’영역의 발달지연 위험은 약 15% 증가했다.
또한, 의료급여수급권자 아동은 건강보험가입자 아동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된 발달 지연의 위험이 더 높았다.
이번 연구결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이전의 발달지연율은 16.2%인 반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는 17.2%의 발달지연율을 보였다.
특히 30~36개월 아동의 발달검진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이전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의사소통’ 영역의 발달지연 위험이 약 21%, ‘사회적 상호작용’영역의 발달지연 위험이 약 15% 증가했다.
발달영역 중 ‘의사소통(보정된 오즈비: 1.21, 95% 신뢰 구간[CI]: 1.19, 1.22)’과 ‘사회적 상호작용(보정된 오즈비: 1.15, 95% CI: 1.13, 1.17)’ 영역의 지연율이 가장 높았다.
의료급여수급권자 아동의 발달지연 위험률은 건강보험가입자 아동에 비해 높았다.
의사소통 영역(보정된 오즈비: 의료급여 수급 아동 1.41[95%CI: 1.28, 1.55], 비 수급 아동 1.20[95% CI: 1.19, 1.22]), 사회적 상호작용(보정된 오즈비: 의료급여 수급 아동 1.30[95%CI: 1.16, 1.45], 비 수급 아동 1.15[95% CI: 1.13, 1.17]) 등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4월 보건학 학술지인‘BMC Public Health (ISSN 1471-2458, impact factor 4.5, Pubmed, Scopus, Embase, SCIE에 index)’에 ‘Association between the COVID-19 pandemic and childhood development aged 30 to 36 month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database’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 발달지연 위험이 더 큰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부모 및 아동 보건의료 관계자들의 협력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