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19일부터 운영중인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3월 15일까지 총 1,414건의 사례가 상담했고, 509건은 피해사례로 신고 접수됐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가 18일 조규홍 제1차장 주재로 개최한 회의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에 신고된 피해사례의 28%(141건)는 의료기관으로부터의 불이익을 우려해 익명으로 신고됐다.
◆ 수술 지연 신고 최다(350건)
총 509건의 피해신고 사례 중 수술 지연 신고가 35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진료 취소 88건, 진료 거절 48건, 입원 지연 23건으로 집계됐다.
진료 과목별로는 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등 외과계열이 전체의 39%(197건)로 많았다.
◆11개 시․도 104건 조치내용 회신…수술과 입원 조치 15건
정부는 피해접수 사례를 지자체로 연계해 현장 점검과 행정지도를 실시하고, 현장조사가 필요한 사항은 즉각대응팀으로 연계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현재까지 11개 시․도에서 104건의 조치내용을 회신받았다.
구체적으로 중증도가 높은 환자에게 무기한 수술 연기 통보를 하거나 진료예약을 반복해 변경한 경우에는, 수술 일정을 잡거나 진료 예약을 앞당길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수술과 입원 조치가 이루어진 사례는 15건, 수술 일정 예약이 이루어진 사례는 4건이다.
진료 거부나 설명의무 위반 등 법 위반이 발생하지 않도록 85건의 행정지도도 이루어졌다.
◆총 174건 법률상담 지원
신고자가 희망한 총 174건에 대해서는 법률상담을 지원했다.
주요 내용은 수술지연에 따른 검사비용 보상 56건, 질병 악화 우려 37건, 의료과실 의심 14건, 소득활동 차질 7건이다.
◆피해접수 사례 감소 추세
최근 피해신고·지원센터를 통해 접수된 피해접수 사례는 감소 추세이다.
운영 첫 주인 2월 19일부터 23일까지는 일 평균 45.4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3월 11일부터 15일까지의 피해신고는 일 평균 13건으로 감소했다.
정부는 “앞으로도 피해신고지원센터로 접수된 피해사례를 예의주시하여, 제때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