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결과 최근 5년간(2017년~2021년) 벌 쏘임 사고는 총 5,457건이 발생했다.
그 중 151명이 입원하고, 24명이 사망(연평균 4.8명)했다. 이 중 15명은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사망했다.
이 중 2,730건이 8~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고, 24명의 사망자 중 8~9월에 사망한 사람이 13명이었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에 따르면 남성은 3,512명(64.4%), 여성은 1,945명(35.6%)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50세~59세가 25.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60~69세(21.4%)가 벌 쏘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벌 쏘임 사고 성・연령별 현황
◆벌 쏘임 사고 9월 집중 발생
문제는 추석명절(9월 29일)을 앞두고 벌초, 성묘, 가을 산행 등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벌 쏘임 사고는 벌초, 성묘, 추수, 단풍놀이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9월(25.3%)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평일보다는 주말(토요일 21.0%, 일요일 24.8%)에 발생 빈도가 높았고, 오후 시간대(12-18시, 43.6%)에 많이 발생했다.
[그림2] 벌 쏘임 사고 시기별 현황
벌에 주로 많이 쏘이는 장소는 야외, 강, 바다로(43.0%) 나타났고, 도로(15.8%), 집(15.2%), 농장 및 일차산업장(8.4%) 순이었다. 야외, 강, 바다에서는 8월(40.4%), 9월(57.6%), 10월(48.7%)에 많이 발생했다.
◆일상생활에서 다발
벌 쏘임 당시 휴식, 식사 등과 같은 일상생활(40.6%)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어 등산, 자전거 타기, 산책 등의 여가활동(21.7%), 무보수 업무(17.3%), 업무(16.6%:양봉, 밭일, 벌목, 구조작업 등 포함)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특히 9월에 무보수 업무(벌초, 화단정리, 밤 따기 등 포함) 활동 중 많이 발생했다(27.3%).
◆벌 쏘임 예방법 및 대처법
벌 쏘임 주요 예방법은 벌을 자극하는 ▲향이 있는 물품 사용 자제, ▲밝은색 옷 입기, ▲긴 옷을 이용하여 팔·다리 노출 최소화, ▲벌집 접촉 시 신속대피 등 4가지가 있다.
벌 쏘임 시 주요 대처법으로는 ▲카드 등으로 긁어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고, ▲소독 후 얼음찜질을 시행하며,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벌 쏘임은 주로 8-9월에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벌은 10월 중순까지도 활발한 활동이 나타나므로 10월까지 벌 쏘임에 유의해야 한다.”라며, “가을철 등산 혹은 벌초를 위하여 산 등 야외에 방문하는 경우 벌에 쏘이지 않도록 예방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벌 쏘임 예방을 위해 벌 쏘임 예방법을 국가손상정보포털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