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2회 이상 재감염 추정사례 140만 253명…BN.1 국내 검출률 증가 -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 증가
  • 기사등록 2023-02-25 23:24:48
기사수정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에 따르면 2월 2주(2.5.~2.11.)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5.73%로 전주(24.84%) 대비 증가했다. 


2월 12일 0시 기준 2,875만 63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2회 이상) 140만 253명, 누적구성비 4.87%로 확인됐다.

(그래프)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변이 바이러스

국내 전체 오미크론 BN.1의 검출률은 59.1%로 전주 대비 0.7%p 감소했지만 국내 검출률은 61.1%(+0.5%p)로 지속 증가 추세로 확인됐다.  


BA.5(7.8%), BQ.1(8.0%), BQ.1.1(3.1%)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20.6%(-3.1%p)로 확인됐고, BA.2.75의 세부계통인 CH.1.1이 5.7%(+1.0%p), 재조합 XBB.1.5는 2.1%(+0.2%p)로 확인됐다. 

◆예방접종 효과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1.6% 감소됐다.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1.9배, ‘4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6.3배가 높았다.


‘2가백신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1.6%, ‘4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84.1% 낮았다. 


(표)최근 4주간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위험도(’23.2.12. 0시 기준)

◆먹는 치료제 처방률

2월 3주차(2.12.~2.18.)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3.2%로, 지난주(33.0%) 대비 0.2%p 증가했다. 


(그래프)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처방률

방역당국은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421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의료기기 이모저모]메드트로닉, 젠큐릭스, 코렌텍, GE 헬스케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사노피, 셀트리온, 제테마, 머크, 한국팜비오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