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XBB.1.5가 14건 추가 검출(국내 5건, 해외유입 9건)되어, 누적 총 31건(국내 12건, 해외유입 19건)으로 나타났다.
◆변이바이러스 분석 결과
오미크론 변이의 46.6%를 차지하는 BA.5 세부계통은 감소세(-5.9%p)를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BA.5(BF.7, BQ.1,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는 28.3%(-6.1%p), BQ.1은 7.4%(+0.1%p), BQ.1.1은 4.7%(-0.1%p)로 확인됐다.
BA.2.75의 세부계통인 BN.1은 39.2%(+6.8%p)로 확인됐다.
(표)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14. 기준)
▲중국발 입국자…XBB.1.5 무검출
최근 중국발(發) 입국자 검역 강화에 따라 1월 4일 ~ 12일 단기체류 확진자 379명 중 분석 가능한 총 39명의 검체에 대해 변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BA.5 세부계통이 92.3%(BA.5 66.7%, BF.7 25.6%)로 확인됐고, XBB.1.5는 검출되지 않았다.
▲BA.5 세부계통 96.5%
또 이를 포함 202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국가호흡기바이러스통합감시(K-RISS)를 통해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發) 확진자 총 400명(단기 체류 확진자 70명 포함)에 대한 분석 결과, BA.5 세부계통이 96.5%(BA.5 65.8%, BF.7 30.3% 등)로 대부분임을 확인했다.
◆코로나19 중증화율 및 치명률 월간 분석 결과
1월 14일 기준 전연령 기간별 중증화율 및 치명률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했다.
(표)월별 연령별 중증화율(위) 및 치명률(아래) 추이(’20.2월~’22.12월)
▲중증화율
12월 전연령 중증화율은 0.16%로 11월 0.17% 대비 소폭 감소, 60세 이상 중증화율은 0.61%로 11월 0.62% 대비 소폭 감소했다.
▲치명률
12월 전연령 치명률은 0.08%로 11월 0.09% 대비 소폭 감소, 60세 이상 치명률은 0.31%로 11월 0.33% 대비 소폭 감소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