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뇌전증을 가장한 병역브로커, 면탈시도자 등의 혐의가 드러나는 가운데 전체적으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한뇌전증학회(이사장 허경, 세브란스병원 교수)가 5일 ‘뇌전증 병역면탈’ 범죄행위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철저한 수사와 관련자 엄중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뇌전증 환자들은 이번 병역비리 사건으로 인해 뇌전증에 대한 부정적인 평판이 심해져 사회적 제약과 차별이 강화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에 뇌전증 환자들에게 따뜻한 격려와 지지를 보내야 할 시기라는 입장도 밝혔다.
또 병역면제 기준의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도 제시했다.
이번 병역비리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 역차별을 조장시킬 수 있고, ‘뇌전증 병역면탈’ 범죄행위를 일으킨 사람들을 엄중하게 처벌하고 범죄행위 자체에 대한 방지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이런 범죄행위 방지를 위한 책임 있는 당국의 해결책이라는 것이다.
허경 이사장은 “꾸준한 자기 관리와 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들은 정상적인 생활을 한다. 그러나 뇌전증 환자들은 발작과 그로 인한 사고 위험성에 대한 잘못된 편견 때문에 여러 사회생활에서 제약과 차별을 받고 있다”며, “대한뇌전증학회는 뇌전증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알리고 잘못된 편견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뇌전증은 전 연령에서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드물지 않은 질환이다.
뇌전증 전문 의료진에 의해 임상증상을 통해 의심하고 뇌파검사, 뇌 영상검사, 혈액검사 등을 고려해 신중히 진단하며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