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2차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분석 결과는? - ‘이른둥이’ 생존율 향상, 중증신생아 질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 노력
  • 기사등록 2022-07-11 18:29:18
기사수정

국내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 질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평원)은 “7월 11일 세계인구의 날을 맞아 신생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신생아 생존율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이는 2차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결과를 출생체중 및 재태기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이다.


◆신생아 생존율 향상 

출생체중 1.5kg 미만 신생아의 생존율은 87.1%로 10명 가운데 약 9명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고, 1차(83.1%) 대비 4%p 향상됐다.

특히 출생체중 500g 미만 신생아의 생존율은 36.8%로 1차(15.8%) 대비21%p 높아져, 크게 개선됐다.

재태기간에 따른 생존율도 37주 미만 신생아는 97.8%로 1차(97%) 대비 0.8%p 향상됐고, 28주 미만에서는 69.1%로 1차(60.6%) 대비 8.5%p 높아졌다.

[자료] 심평원, 1·2차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 1차 평가(’18년 7월 ~ 12월), 2차 평가(’20년 10월 ~ ’21년 3월)


◆신생아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신생아세부분과전문의 증가       

2차 평가 결과 신생아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수는 228명으로 1차(163명) 대비 65명 증가했고, 전담전문의 중 신생아세부분과전문의는 155명으로 1차(128명) 대비 27명 증가했다. 

이는 요양기관이 중증신생아를 돌보는 전문인력 배치를 늘려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소아외과전문의, 소아심장전문의 증가 

소아외과전문의와 소아심장전문의가 있는 곳은 각각 31개소, 54개소로 1차 대비 5개소, 7개소씩 증가했다. 

심평원은 신생아중환자의 외과수술 또는 심장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필요한 전문의가 요양기관에 상주해 다양한 시각에서 환아를 진료하고 치료대응력을 높이는 등 안전한 진료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자료] 심평원, 1·2차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 1차 평가(’18년 7월 ∼ 12월), 2차 평가(’20년 10월 ∼ ’21년 3월)

▲평가 받은 전체 기관…환자의 감염률 및 생존율 향상

이른둥이가 많이 입원하는 상급종합병원은 신생아중환자실 환자에게 꼭 필요한 진단·치료 장비 및 시설을 모두 구비했고, 평가를 받은 전체 기관이 적절한 감염관리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환자의 감염률 및 생존율을 향상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신생아소생술교육

또 심평원은 2년에 1회씩 신생아소생술교육을 받도록 평가기준을 정하고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하는 의사 및 간호사의 대부분이 이 교육을 이수했다. (2차 평가 이수율 99.4%)

신생아소생술(NRP, Neonatal Resuscitation Program : 소아 및 성인 심페소생술과 달리 기도 확보 및 호흡보조를 위주로 하고, 체온 유지를 요구하며, 미숙아 등 취약한 환자의 소생을 다룸)은 응급상황에서 산소결핍으로 인한 뇌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실시하는 응급처치로, 신생아중환자실의 의료 인력이 숙련된 기술 및 지식을 습득해 진료수준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입원진료비 본인부담금 면제 등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 분과위원장 하상미 책임위원은 “요양기관이 중증신생아를 돌보는 전문인력을 늘리고, 취약한 신생아의 소생을 위한 전문교육을 이수하는 등 안전한 진료환경을 위해 노력한 결과이다”며, “적정성 평가를 통해 신생아중환자실의 진료 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정부는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입원진료가 필요한 신생아에게 입원진료비 본인부담금을 면제하고 있으며, 지원 대상은 출생 후 28일 미만의 영유아 뿐만 아니라 재태기간 37주 미만 또는 출생체중 2.5kg 이하의 이른둥이를 포함한다. 


◆신생아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수가기준 개선

또 요양기관이 신생아중환자실에 보다 많은 소아청소년과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전담전문의를 확충해 의료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난 4월 신생아중환자실 전담전문의 수가기준도 개선했다.

심평원은 “앞으로도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를 통해 안전한 진료환경이 구축되고, 진료 인프라가 확충돼 중증신생아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전체 출생아수 매해 감소 VS. 이른둥이 출생 비중 증가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출생아 수는 27만 2,300명으로 2010년(47만 200명) 대비 19만 7,900명 감소한 반면, 전체 출생아 중 체중이 2.5kg 미만 또는 37주 미만으로 태어난 이른둥이 출생아 비중은 매해 증가하고 있다. 

2020년 37주 미만 출생아의 비중은 8.5%로 2010년(5.8%)대비 2.7%p, 저체중 출생아의 비중은 6.8%로 2010년(4.9%)대비 1.9%p 높아졌다. 전체 출생아수는 매해 줄지만, 이른둥이 출생 비중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자료] 통계청, 2020년 출생통계   

이는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고령(35세 이상) 산모 비중·난임 등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예측됐다. 

우리나라 난임 진단(진료)을 받은 사람은 2010년 18만 5,000명에서 2018년 총 24만 2,000명으로 증가했다. 


한편 세계인구의 날은 전 세계 인구가 50억 명이 넘은 것을 기념하기 위해 1989년 UN개발 계획(UNDP)이 제정한 날로 매년 7월 11일을 기념하고 있다.  

출생 시 몸무게가 2.5kg 미만인 경우 ‘저체중 출생아’,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하는 아기는 ‘미숙아’라 부르는데, 국내에서는 이들을 한글 새 이름인 ‘이른둥이’이라고 한다. 

자세한 신생아중환자실 적정성 평가결과는 심평원 누리집과 이동통신앱(건강정보)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5064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