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마음의 병이 심장의 병’ 유발 첫 확인…연령 낮을수록 발병위험 높아 - 고려대안암병원 최종일, 김윤기, 한규만,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팀
  • 기사등록 2022-04-13 01:48:58
기사수정

인류의 역사 대부분은 마음과 심장을 동일시해왔고 지금까지도 그러한 언어적, 문화적 경향이 이어져 왔다. 

그런데 실제로 마음과 심장의 연관성을 밝힌 국내 연구가 발표돼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에서의 심방세동 위험은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었지만 국내 빅데이터를 통해 마음과 심장의 병의 관계를 밝힌 것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김윤기,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팀은 2002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중 심장건강에 이상이 없고 20세 이상인 500만명의 10년간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경우 심방세동 위험이 1.25배 높았고, 우울증의 재발 에피소드가 없는 경우 1.17배, 재발에피소드가 있는 경우는 1.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발병위험이 높았고, 20~39세의 경우 1.58배로 가장 높은 연관성을 나타냈다.


최종일 교수는 “우울증이 있는 경우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료 뿐 아니라 심장건강도 꾸준히 살펴, 뇌경색, 치매, 심부전 등의 중증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심방세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아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또 “이번 연구에 따르면 젊은 층에서 우울증이 있는 경우 심방세동의 발병 위험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젊다고 건강을 과신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윤기 교수는 “심방세동의 발생을 조기에 진단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경우 완치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이 있는 경우, 심장건강에 대한 적극적이고 주기적인 검사가 권장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Atrial Fibrillation in South Korean Adults’는 미국의사협회 공식학술지 자매지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Network Open, 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8998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