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의료대응 체계 전환으로 신속항원검사가 시행되면서 검사키트 물량 부족과 가격 상승이 발생하고 있어 공급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가 시장 모니터링을 통해 매점매석·가격교란 등 불법행위에는 엄정 대응하기로 했다.
정부는 지난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조달청, 질병관리청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속항원검사 키트 수급 대응 TF’(윤창렬 국무1차장 주재) 회의를 개최해 이같이 결정했다.
◆2월 4일까지 총 686만개 키트 공급
우선 정부는 광주·전남·경기 안성·평택 등 오미크론 우세지역 선별진료소(총 41개소)에 개소당 3,000개의 신속항원검사키트를 이미 구비했다.
따라서 1월 29일 부터는 전국 선별진료소(256개소) 및 임시선별검사소(213개소)에서 원하는 국민은 무료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개소당 2주일 분량(1만 4,000개)을 제공하기로 했다.
관련하여 1월 28일까지 220만개를 제공한데 이어 2월 4일까지는 466만개 추가, 총 686만개의 키트를 공급(선별진료소 384만개, 임시선별검사소 302만개)한다는 계획이다.
◆공급능력 충분…시장동향 상시 점검
공급능력과 관련해 현재 국내 업체를 통해 자가검사용은 하루 최대 750만개, 전문가검사용도 850만개의 진단키트를 생산할 수 있어 충분한 공급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수출물량 일부의 국내공급 전환, 대용량‧벌크 포장 허용을 통한 증산(대용량 포장 등 하루 350만개 추가 생산 가능), 신규 생산업체 허가 조속 추진 등을 통해 2월중 공급량을 최대한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또 정부는 선별진료소 등의 공공 목적 키트 뿐만 아니라 약국‧편의점 등에서 판매되는 키트의 유통 과정상의 불안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시장동향을 상시적으로 점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신속항원검사 키트 수급대응 TF’ 운영
정부는 국민들이 불편하거나 불안해하지 않도록 키트의 원활한 공급에 전력을 다하고, 매점매석, 가격교란 등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고 강력하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관련 부처와 ‘신속항원검사 키트 수급대응 TF’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키트의 생산, 공급, 유통, 판매 전 단계에 걸쳐 철저한 관리체계를 유지해 나갈 예정이다.
또 온라인 실시간 모니터링, 판매처 수시 현장점검, 제보접수 등은 물론 필요시 수급조정조치(유통관리 개선)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