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주간(9.26∼10.2.)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가 일평균 2,489.6명(국내 발생 1만 7,427명)으로 전주(일평균 2,028.3명) 대비 22.7%(461.3명) 증가해 추석연휴 이후 확진자 규모가 커지고 유행이 더 확산됐다.
◆주간 감염재생산지수…4주 연속 증가 추세
수도권은 확진자가 지속 증가해 최근 1주간 일평균 1,865.3명(전체 환자 수 13,057명)으로, 전주(일평균 1,542.4명) 대비 20.9% 증가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624.3명(전체 환자 수 4,370명) 발생해 전주(일평균 485.9명) 대비 28.5% 증가했다.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20으로 4주 연속 증가 추세이며, 수도권은 1.19, 비수도권은 1.25였다.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27.7명(총 194명)으로 전주 대비(25.7명) 7.8% 증가했다.
◆18세 제외한 모든 연령군 증가
2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9.1명(전주 6.6명), 3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6.8명(전주 5.4명)으로 높은 발생률을 유지하고, 모든 연령군에서 증가했다.
학령기 모든 연령군에서 9월 2주 등교확대 이후, 주간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18세를 제외한 나머지 학령기 연령군에서는 발생률 최대치를 기록했다.
◆신규 집단감염 총 33건 등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53.6%, 9,443명) 및 ‘조사 중 비율’(37.1%, 6,530명)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표)최근 4주간 감염경로(8.29.~10.2.)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33건으로 사업장 10건, 교육시설 7건, 다중이용시설(음식점, 유흥시설, 시장, 목욕탕 등) 6건, 의료기관 5건, 종교시설 2건, 가족 및 지인모음 2건, 기타 1건이 발생했다.
◆위중증·사망자 증가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327명으로 전주(324명) 대비 소폭 증가, 사망자는 63명으로 전주(47명) 대비 증가했다.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9월 5주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이 199명(60.9%)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103명(31.5%), 30대 이하가 25명(7.6%)이었다.
▲연령군별 사망자 수
9월 5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50명(79.4%)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9명(14.3%), 30대가 4명(6.3%)이었다.
◆코로나19 확진자 중 백신 미접종자 84.8%
2021년 5월부터 8월 28일까지 확진자 총 12만 5,925명 중 백신 미접종자는 84.8%(10만 6,768명), 1차 접종자는 12.2%(1만 5,378명), 접종완료자는 3.0%(3,779명)였다.
▲위중증 및 사망자…미접종자 79.4%
위중증 및 사망자는 2,762명(2.19%)이었다. 이 중 미접종자 79.4%(2,193명/2,762명), 1차 접종자 18.1%(499명), 접종완료자 2.5%(70명)이었다.
▲60세 미만…미접종자 92.3%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 92.3%(1,383명/1,499명), 1차 접종자 7.2%(108명), 접종완료자 0.5%(8명)였다.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64.1%(810명/1,263명), 1차 접종자는 31.0%(391명), 접종완료자는 4.9%(62명)였다.
◆외국인확진자 전주대비 85.6% 급증
9월5주 외국인 확진자 수는 4,277명(국내 발생 대비 24.5%)으로 전주(2,305명, 16.2%)대비 85.6% 급증했다.
◆인구이동량…전주 대비 5.3%p 감소
인구이동량 이동평균 기준점 대비 6.1% 높은 수준으로, 전주 대비 5.3%p 감소했다(9.29. 기준).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