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코로나19 충격, 긴급복지지원제도 증가…소득 상위 50~75% 긴급복지 신청 3.8배 급증 - 긴급복지 사유 실직 3배·휴폐업 2.6배 증가
  • 기사등록 2021-10-04 23:29:08
기사수정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경제적 위기로 긴급복지를 신청하는 사람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생업을 잃은 탓에 긴급복지지원제도를 이용한 경우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더불어민주당)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위기사유별 긴급복지 수급건수’에 따르면 ‘소득자의 실직’으로 긴급복지를 받게 된 사례는 2019년 1만 2,885건에서 지난해 3만 8,356건으로, ‘소득자의 휴업·폐업(사업장 화재 포함)’에 따른 사례는 같은 기간 2,284건에서 5,948건으로 각각 늘었다[표1].


◆실직 및 휴·폐업 여파 특히 심각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등의 여파로 임금근로자가 직장을 잃거나 자영업자가 가게 문을 닫는 바람에 생계가 곤란해져 긴급복지에 편입된 가구가 전년 대비 각각 3배, 2.6배 늘어난 것이다.
이는 전체 긴급복지 수급건수 증가율(2.2배)을 웃도는 수치로 코로나19가 초래한 여러 경제적 충격 가운데 실직 및 휴·폐업의 여파가 특히 심각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중상위 소득 가구 긴급복지 의존도 급증
소득 수준별로는 중상위 소득 가구의 긴급복지 의존도가 가파르게 증가했다.
신청건수 기준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계층은 소득 상위 50~75%로, 2019년 6,601건에서 지난해 2만 4,814건으로 3.8배를 기록했다.
소득 상위 75% 이상 계층의 긴급복지 신청도 같은 기간 5,424건에서 1만6,129건으로 3배나 늘었다.
소득 하위 30~50% 이하는 2.8배(1만1,969→3만3,435건), 소득 이하 30% 이하는 2배(12만685→24만3,527건) 각각 증가했다[표2].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재난은 우리 사회의 취약한 부분에 더 큰 후유증을 남긴다”며,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와 확장 재정 정책을 통해 사회경제적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는 계층에 빠르게 응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긴급복지 지원제도는 2006년 복지부가 일시적 생계 위기를 맞은 가구를 대상으로 식료품비・의복비・냉방비 등을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제도로, 기초생활보장 급여와는 중복 신청할 수 없다.
2019년 17만 413건이던 긴급복지 신청건수는 지난해 32만 9,106건으로 약 2배 증가했다.
올해도 2분기 신청건수(15만 8,220건)가 지난해 같은 기간(14만8,887건)보다 6% 이상 늘어나며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45203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셀트리온, 신신제약, 파로스아이바이오,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