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합동 특별점검단과 24개 부처가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 상황을 점검한 결과 방역수칙 위반사항들이 대거 적발됐다.
◆정부합동 특별점검단 점검 결과…지자체, 1,246건 행정처분 요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에 따르면 서울, 인천, 경기, 부산의 방역 취약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기 위해 소관 부처,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정부합동 특별점검단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7개 분야(학원·교습소, 식당·카페, 유흥시설,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목욕장, 숙박시설, 종교시설) 총 6만 6,721개소의 점검(7.8~7.30)을 실시(6개부처·지자체 등 763명 참여)했다.
이번 점검 결과 방역수칙 위반사항 1만 779건을 적발했다. 이 중 1,246건은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고, 9,533건을 현장에서 안내·계도 조치했다.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한 시설(1,246건)에 대한 위반사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설별…3개 분야 전체 위반시설 73.0% 차지
시설별로는 식당·카페(552건, 44.3%), 숙박시설(214건, 17.2%), 실내체육시설(145건, 11.6%) 순으로 3개 분야 시설에서 전체 위반시설의 73.0%를 차지했다.
노래연습장 131건(10.5%), 학원시설 79건(6.3%), 목욕장업 42건(3.4%), 유흥시설 32건(2.6%), 종교시설 등 51건(4.1%) 등이었다.
▲위반유형별…3개 위반유형, 전체 위반유형 76.5%
위반유형별로는 방역수칙 게시·안내 미흡(636건, 51.0%), 환기·소독 관리 미흡(231건, 18.5%), 발열 등 증상 확인 및 출입제한 미흡(87건, 7.0%) 순으로 3개 위반유형이 전체 위반유형의 76.5% 수준으로 확인됐다.
출입명부 관리 67건(5.4%), 마스크 미착용 42건(3.4%), 음식섭취 38건(3.0%), 거리두기 미흡 26건(2.1%), 방역관리자 미지정 8건(0.6%), 공용물품 사용금지 등 기타 111건(8.9%) 등이었다.
정부는 “특별점검단 운영을 통해 취약시설 및 유형에 대한 집중적인 점검체계를 운영하고, 영세·소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방역수칙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방역수칙 위반사항 1,209건 적발…17건 지자체 행정처분 요청
부처별로 방역이 취약한 소관시설에 대한 방역점검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4개 부처에서 총 2만 9,073개소의 시설을 점검(7.1~7.30)했다.
점검 결과, 방역수칙 위반사항 1,209건을 적발했다. 이 중 17건은 지자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고, 1,192건은 현장에서 안내·계도 조치했다.
▲시설별…농산물 도매시장>저축은행>지역축제·건설현장 순
시설별로는 농산물 도매시장, 저축은행, 지역축제·건설현장, 카드사, 실내체육시설 순으로 위반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위반유형별…마스크 미착용 최다
위반유형별로는 마스크 미착용, 방역수칙·이용 인원 게시·안내 미흡, 소독·환기 미흡, 밀집도 완화 미흡 순으로 위반 건수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7월 31일 각 지방자치단체 방역수칙 미준수 106건 현장지도
7월 31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 1만 5,389개소, ▲실내체육시설 1,253개소 등 23개 분야 총 2만 3,096개소를 점검해 방역수칙 미준수 106건에 대해 현장지도를 했다.
경찰청 등과 합동(118개 반, 641명)으로 심야 시간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1,574개소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했다.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 총 10만 4,141명
한편 7월 31일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10만 4,141명이다.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만 5,946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7만 8,195명이다.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1,017명 감소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