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임신부가 흡입하는 깨끗한 대기질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특히 임신 초기와 중기에 초미세먼지(PM2.5)와 이산화질소(NO2)노출이 선천성 기형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환경부 지정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지정분야: 선천성 기형) 교수팀은 2008~2013년에 출생한 0~6세 선천성 기형 아동 15만 명을 대상으로, 태아시기 초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노출과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특히 임신 중 대기오염 노출에 따른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도를 임신 시기별로 구분하여 임신 초기, 중기, 후기의 노출농도에 따른 위험도를 각각 분석했고, 선천성 기형의 종류도 신경계, 근골격계, 순환기계, 비뇨기계, 소화기계, 안면 기형 등 6가지 종류의 선천성 기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대기 중 초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의 노출은 출생 후 선천성 기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초기 초미세먼지 농도가 약 11.1 ug/m3 증가할 때마다 선천성 기형 발생 위험도가 14.7%, 임신 중기 노출은 10.1 ug/m3증가할 때마다 16.2% 증가했다.
또 임신 초기, 중기에 초미세먼지 노출이 순환기계, 비뇨기계, 근골격계 선천성 기형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기 중 이산화질소의 노출은 임신 초기와 중기에 10.6 ppb 증가 할 때마다 8.2%, 15.6%의 위험도가 높아졌다.
임신 중 이산화질소의 노출은 비뇨기계와 근골격계의 선천성 기형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의대 홍윤철(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환경보건센터장은 “임신 중 미세먼지나 이산화질소와 같은 대기오염원에 노출되면 선천성 기형 발생의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에는 임신부의 야외활동을 자제할 것을 권한다”며, “이번 연구는 국내 대기 중 초미세먼지 노출과 선천성 기형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필요성을 알리고 임신부 건강관리 정책에 근거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8월 15일자 환경연구(Environmental Research) 온라인 판에 발표됐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