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이태원 클럽 촉발 코로나19 전국적 확산 사례 분석 결과는?…철저한 방역관리체계 유지 필수 - 보라매병원 이진용 교수·서울시 공동 연구팀
  • 기사등록 2020-07-18 01:18:38
기사수정

지난 5월 이태원 클럽에서 촉발된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 사례를 분석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당시 서울시 코로나19 대응 역학조사기술지원반장으로 활동한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공공의학과 이진용 교수(제1저자: 강초록 서울특별시 역학조사관)는 “코로나19는 전파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유흥업소에서 1차적인 감염이 이루어진 후, 이들이 국내 각 지역으로 이동하며 감염률이 점차 상승했을 것이다”며, “만약 이에 대한 조기 대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면 대량의 감염사태가 발생했을 것이다”고 밝혔다.


또 5월 25일까지 보고된 유흥업소 연관 감염사례 246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추가 전파는 최대 6차까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됐는데, 1차 감염사례는 96건, 이후 감염사례는 150건으로 약 1.6배가량 많았다.
특히 감염 전파규모를 지역적으로 분석한 결과, 서울은 25개 자치구 중 한 곳을 제외한 전역으로 확산됐으며, 국내 전체 17개 시도 중 70%에 달하는 12개 시도까지 전파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진용 교수는 “이번 연구는 특정 다중이용시설 내 집단 감염이 얼마든지 국내 전체로까지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코로나19는 언제든지 재확산 될 수 있음을 명심하고, 방역당국은 유흥업소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철저한 방역관리체계를 유지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시와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신종감염병 저널(EID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최근호에 게재됐다.


한편 지난 5월 초, 이태원 클럽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해 전국적으로 감염이 확산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클럽에서 1차 감염이 이루어진 확진자가 자신의 거주지로 돌아가 후속적인 전파를 일으킨 것으로, 당시 클럽에서 1차 감염된 인원만 전국 8개 시도(서울, 부산,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제주) 96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서울시는 빠른 대응을 위해 서울지방경찰청의 협조를 얻어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6일까지 이태원 소재 유흥업소 5곳을 방문한 5,517명과 휴대폰 GPS 신호를 바탕으로 유흥업소 일대를 30분 이상 다녀간 5만 7,536명의 명단을 확보했다.
이후, 대상자에게 코로나19 검사를 권유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결과를 회신 받는 형식으로 조사가 진행됐으며, 그 결과 5월 25일까지 총 4만 1,612건의 검사가 시행됐다.
회신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유흥업소 소재지를 다녀간 35,827명 중에서는 0.19%인 67명에서 코로나19 양성이 확인된 데 비해, 이들과 접촉한 5,785명 중에서는 4배가 넘는 0.88%(51명)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665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