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질병관리본부가 기획한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이 오는 7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은 국민 보건안전과 백신주권 강화를 목표로 지난 2018년부터 준비된 사업으로 지난 2019년 3월 정부 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향후 10년간(2020~2029) 국비 2,151억 원이 투자되는 감염병 분야 대형 연구사업이다.
감염병 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 중 백신 분야 2020년 예산은 119.5억 원이다.
이 사업단은 결핵, A형간염, 수족구병 등 주요 감염병 극복을 목표로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 연계까지 백신 개발의 전주기에 걸쳐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백신기술 개발뿐 아니라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생산공정 연구, 임상시험 시료 생산 등 과제도 지원해 국내 자체 개발·생산으로 연계되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현재 긴급대응으로 수행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개발 연구들의 성과를 이어받아 비임상·임상시험의 후속연구 지원 등 코로나19 백신 개발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 사업단은 효율적인 민-관 협업, 기초-임상 연계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2020.10월 준공예정)의 민간지원 기반시설(인프라)을 적극 활용하고, 국가 감염병연구 통제탑(컨트롤타워)인 국가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2020년 설립운영 기본계획 수립)와 협력해 국내 감염병 대응을 위한 보건안보 체계 구축의 한 축으로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김성순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올해 출범할 사업단이 신종감염병, 필수예방접종 백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가 실용화로 연계되는 가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대응 백신 개발에 속도를 더할 것이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