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발치 교정법의 안전성이 처음으로 입증됐다.
서울성모병원 치과병원 국윤아 교수팀은 상악치열을 후방 이동하는 치료를 받은 2급 부정교합 환자 23명(평균 나이 20.1세)을 대상으로 치료 종료 후 3년의 유지기간 동안 재발률을 조사했다.
교수팀은 MCPP(Modified C-palatal plate) 치료 전, MCPP 치료 직후, 3년 후의 엑스레이 영상이미지를 비교해 치아가 후방 이동한 위치를 분석한 결과, 12%의 재발률을 보였다. 기존 장치(Herbst appliances)를 사용했을 때 39%의 재발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장치를 이용할 때는 협측에서 교정력을 가해 어금니가 뒤로 쓰러지며 이동하지만, MCPP를 사용하면 구개측에서 교정력을 가해 치아가 평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재발률이 낮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치과교정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12월호에 게재됐다.
한편 MCPP 비발치 교정법은 국 교수가 지난 2006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으며, 발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상악치열을 후방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이다.
MCPP 장치는 2019년 미국 최신치과교정학 교과서 개정판(Contemporary Orthodontics, 제 6판, ELSEVIER)에 훌륭한 치료 효과가 소개된 바 있다. 이 장치는 제품명 MCPA로 국내와 미국에 특허 출원이 되어 있다.
국윤아 교수는 “교정치료는 기능회복, 심미성, 안정성이 3대 목표인데 그중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향후 이 장치를 비발치 치료뿐 아니라 비수술 치료까지 영역을 확대하겠다. 환자들에게 안정성이 입증된 세계 수준의 치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