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간]대한창상학회, 창상감염 발간…4가지 특징은?
  • 기사등록 2019-04-09 08:00:02
기사수정

대한창상학회(회장 한승규, 고대구로병원 성형외과 교수)가 ‘창상감염’을 발간했다.

이 책은 대한창상학회를 대표해 성형외과, 정형외과, 감염내과,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 창상전문간호사 등 총 20명으로 구성된 창상전문가들이 각 주제별로 원고초안을 작성했다.

이어 저자들을 포함한 23명의 창상전문가로 구성된 편찬위원회에서 검토됐다. 검토 결과 미진한 부분들은 다시 각 장(chapter)의 저자별로 수정했으며, 수정된 내용은 추가로 2회에 걸쳐 편찬위원회가 검토를 하여 최종원고를 작성했다.


작성된 원고는 출판사 편집 후 각 장(chapter) 저자들의 검토 및 최종적인 7인 편찬위원들의 확인작업을 거쳤다. 즉 최소 5회 이상의 검증을 거친 내용들이며, 대표적인 특징 4가지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 책은 창상전문가가 아닌 일반의료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저술됐다. 창상은 성형외과의사나 창상전문간호사뿐 아니라 여러 분야의 의료들이 일차적인 진료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창상을 전공하지 않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둘째, 저서의 내용에 있어서도 기초연구와 관련된 학문적인 내용보다는 임상에서 우리나라 창상환자들을 진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내용들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즉, 창상과 관련하여 기존에 발간된 여러 문헌들의 내용 중 임상과 관련된 부분들을 바탕으로 저자들의 임상경험을 정리해 저술했다.

셋째, 용어의 선택에 있어서 의료진들에게 가장 익숙한 용어를 사용하여 이해가 쉽도록 했다. 가능한 한 우리말 표현을 사용했지만 억지로 우리말 표현으로 기술했을 때 오히려 의미의 전달이 어렵고 혼동될 수 있는 경우에는 의료진들이 흔히 사용하는 원어 그대로 기술했다.

또 저서 전체에 있어 용어가 통일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나 저자가 여러 명이다 보니 용어의 선택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독자들의 이해를 구한다.

넷째, 실제 환자들의 증례사진을 많이 게재하여 이해가 쉽도록 했다. 많은 창상관련 문헌들이 실험실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술되기 때문에 지루하고 이해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 저서는 실제 환자들의 사진을 기초로 하여 내용이 설명되도록 노력했다.

한승규 회장은 “이 책의 발간을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23분의 저자 및 편찬위원들께 대한창상학회를 대표해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본 저서가 창상전문가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타 분야 의료인, 의료정책과 관련된 정부 및 민간기관 종사자들, 환자 및 가족 등 창상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에게 의미 있는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창상감염은 창상치유에 있어 가장 흔하면서도 그 결과가 무서운 합병증이다. 감염까지는 가지 않았더라도 창상의 세균부하가 높아지면 창상치유가 저해된다. 창상에 세균이 침범하여 심각할 정도의 증식이 일어나면 정상세포가 창상치유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나 영양분들을 세균들이 사용하게 되어 정상세포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결국은 생존하기도 힘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세균들이 분비하는 독소나 대사산물들이 정상세포와 조직을 파괴하여 창상치유가 지연된다.

감염의 진행으로 인하여 심할 경우 입원기간이 길어지고 전체적인 치료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감염과 관련된 2차합병증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하지의 경우에는 절단으로까지 이르는 경우도 흔하여 신체장해를 가져오기도 한다. 따라서 창상감염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창상을 다루는 의료인들이 성공적인 창상치유를 도모하기 위한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전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PART I. Overview

Chapter 1. Definitions in Wound Infection

Chapter 2. Pathophysiology: Wound Healing and Infection

Chapter 3. Grading of Wound Infection

Chapter 4. Microbiology

PART II. Diagnosis

Chapter 5. Signs and Symptoms

Chapter 6. Blood Tests and Biomarker Tests

Chapter 7. Culture Test

Chapter 8. Basic Principles of Radiologic Interpretation

PART III. Treatment

Chapter 9. Antiseptics

Chapter 10. Antibiotics

Chapter 11. Non-Surgical Debridement

Chapter 12. Surgical Debridement

Chapter 13. Antimicrobial Dressing

PART IV. Chronic Wound

Chapter 14. Biofilm: Paradigm Shift of Chronic Wound Care

Chapter 15. Osteomyelitis

Chapter 16. Diabetic Wound

Chapter 17. Pressure Injury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3015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