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퀴놀론계 항생제…적절한 처방중제와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 전북대병원 최은정 약사 퀴놀론계 항생제 연구 ‘우수포스터상’ 수상
  • 기사등록 2018-12-29 00:43:22
기사수정

퀴놀론계 항생제 부작용 연구결과 적절한 처방중제와 지속적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전북대학교병원(병원장 조남천) 약제부 최은정 약사는 내과계 중환자실(MICU)에서 유효성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빈번하게 사용되는 퀴놀론계 항생제가 QT연장,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Torsade de Points(TdP) 유발 위험 등의 부작용과 관련된 최근 이슈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결과 연구 기간 동안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 환자에게 투여된 퀴놀론계 항생제 Ciprofloxacin, Levofloxacin, Moxifloxacin 사용 환자에서 QT연장 발생률은 각각 48%, 37%, 32%로 나타났다.  

QT연장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은 퀴놀론계 항생제 이외에도 다양한데, QT연장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이러한 QT연장 유발 약물의 병용률도 높았다. 퀴놀론계 Ciprofloxacin과 Moxifloxacin 투여군에서 병용된 QT연장 유발 약물은 Furosemide, Chlorpheniramine, Metronidazole, Fluconazole, 퀴놀론계 Levofloxacin 군에서는 Furosemide, Chlorpheniramine, Azithromycin, Fluconazole의 순으로 병용 빈도가 높았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퀴놀론계 항생제의 사용에 따른 QT연장 발생률은 문헌에서 보고된 것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는데, QT연장 유발 약물의 병용, 전해질 불균형 등의 위험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았다. 

위험요인이 있는 중환자에게 퀴놀론계 항생제 및 Furosemide와 Chlorpheniramine과 같이 빈번하게 사용되면서 QT연장 유발 가능성이 큰 약물 사용 시 환자의 임상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처방중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병원약사회 주최로 개최된 2018년 추계학술대회에서 ‘퀴놀론계 항생제를 투여 한 MICU환자에서 Long-QT 발생 현황 조사’라는 내용으로 발표됐으며, 포스터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한편 최은정 약사는 현재 중환자약료 전문약사(한국병원약사회 주관)이며, 약제부 임상약제팀 내과계 중환자실 전담약사이다. 의료진과 함께 중환자실 회진에 참여하면서 적절한 약물 투여를 위해 검토하고 중재하며, 약물 혈중 농도 모니터링(TDM)과 약물이상반응 모니터링(ADR)을 비롯해 영양집중치료팀(NST, Nutrition Support Team)원으로서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수액 자문업무(TPN)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관련기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883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신신제약, 한미, 큐라클, 파로스아이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씨월드, 셀트리온, 온코닉테라퓨틱스, 한국GSK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삼성바이오에피스, 셀트리온,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 한올, 큐레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