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이 OECD 평균보다 높았고, 항생제는 OECD 국가 중 우리나라가 3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규모는 OECD 평균에 비해 다소 낮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18’의 주요 지표별 우리나라 및 각 국가의 위치·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의약품 판매액…OECD 평균보다 140.2US$PPP 높아
2016년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의약품 판매액은 589.1US$PPP(Purchasing Power Parity:각 국의 물가수준을 반영한 구매력평가환율)로, OECD 평균(448.9 US$PPP) 보다 140.2US$PPP 높았다.
국가별로는 벨기에(685.5), 체코(635.3), 캐나다(623.9), 스위스(618.5)의 의약품 판매액이 1인당 600 US$PPP를 넘어 한국보다 많았다.
2016년 국내에서 소비된 총 의약품의 양은 2015년 대비 19.6% 증가한 반면, 판매액은 7.3% 증가로 소비량의 증가폭보다 낮았다.
이는 △보험적용 확대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활성화 등 다양한 요인의 약가 인하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항우울제…OECD 평균 약 1/3 소비
2016년 항우울제 소비량은 19.9DDD/1,000명/일[이하 DID: Defined daily dosage(DDD) per 1,000 inhabitants per day]로 OECD 평균 62.2DID의 약 1/3 수준이며, 항우울제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는 아이슬란드(135.9), 호주(106.7)와 영국(100.1)이다.
▲항생제…OECD 평균 대비 1.7배 높아
2016년 국내 항생제 소비량은 34.8DID로 터키(40.6)와 그리스(36.3) 다음으로 많았고, OECD 평균(20.8DID)에 비해서는 1.7배 높았다.
▲경상의료비 연평균 증가율…OECD 국가 중 최고
보건의료부문 서비스 및 재화에 소비된 국민 전체의 1년간 지출 총액을 의미하는 한국의 국민 1인당 경상의료비(잠정)는 2017년 2,897US$PPP로, OECD 평균(4,069 US$PPP)보다 낮았다.
2017년 GDP 대비 경상의료비 지출규모는 7.6%로 OECD 평균(8.9%)에 비해 다소 낮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한편 OECD 국가의 GDP 대비 경상의료비 증가율은 2000년대 후반까지는 경제성장률보다 높았지만 2008년 경제 위기 이후 다수 국가에서 감소하거나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