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10개 중 6개 이상이 감염관리체계 및 자체적인 감염관리계획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가 의료관련감염 종합대책 수립을 위해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1,442개[상급종합병원(42개), 종합병원(260개),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중 2개 이상 갖춘 병원(167개), 요양병원(973개)]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번 조사결과 조사대상 병원(병원급 의료기관 중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중 2개 이상 보유 의료기관)의 60~70%가 감염관리위원회, 감염관리실 및 감염관리인력 등 감염관리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67%가 자체적인 감염관리계획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병원·요양병원의 13~23%는 원내 감염유행 발생에 별도 대응을 하지 못하고, 60~70%는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지 못하는 등 감염관리활동도 미흡한 상황이다.
또 현장조사 결과 멸균을 완료한 의료물품을 오염 가능성이 있는 구역에 보관하거나, 주사 준비 공간에 화분이 다수 비치된 사례, 병동의 냉장고에 약품과 음식물이 함께 보관되어 있는 등 부적절한 감염관리 사례도 다수 관찰됐다.
복지부 윤태호 공공보건정책관은 “의료기관에서의 감염예방은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다”며, “그간의 정책이 감염관리 인프라 및 외연 확대에 집중해왔다면 이제는 내실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도 발표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