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김성훈 교수팀이 파킨슨병과 같은 뇌질환 유발 유전자로 알려진 파리유전자(PARIS/ZNF746)와 대장암과의 관련성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 눈길을 모으고 있다.
교수팀은 파리유전자가 대장암의 발생과 진행 과정에 깊이 개입한다는 사실을 규명해냈다.
파리유전자는 정상 세포에서는 잘 발현되지 않지만 대장암세포와 전이암세포에서는 발현이 증가됐다.
또 파리유전자가 항암성유전자로 알려진 시믹(c-Myc) 유전자 등을 활성화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동물실험에서도 파리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되면 대장암도 함께 증식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김성훈 교수는 “이번 연구가 파리유전자를 억제하면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동물실험과 사람 암조직을 활용한 암유전자 연구를 통해 항암성 한약재를 개발할 계획이며, 세계 최고의 한의학 암 연구팀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 도약과제로 진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Zinc finger protein 746 promotes colorectal cancer progression via c-Myc stability mediated by glycogen synthase kinase 3β and F-box and WD repeat domain-containing 7’이라는 논문으로 Nature의 자매지인 Oncogene(IF: 7.519) 4월 호에 게재됐다.
김 교수팀은 지난 1월에는 유전자 CNOT2가 유방암의 혈관 형성과 증식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규명해 전이성유방암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연구 결과는 ‘Cancer Letters’에 게재됐다. 최근에는 백작약에 함유된 갈로탄닌의 간암 증식 억제기전을 연구한 논문을 독성학 분야 우수 저널 ‘Archives of Toxicology’에 발표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