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장기)노인요양시설‘서울마포구’,‘경북영양군’최고 기록 - 2017년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발표
  • 기사등록 2018-04-11 02:19:43
기사수정

장기노인요양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서울마포구, 노인요양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경북영양군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2017년도 전국 시군구별로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7년 말 기준 전국 시군구별로 노인요양시설과 주야간보호시설의 수와 정원 대비 현원의 이용률을 조사한 것이다.



서울 마포구·울산동구vs 충남계룡시·경북의성군

2017년 말 기준 장기요양기관 이용률을 보면 노인요양시설은 84.3%, 주야간보호시설은 63.5%를 차지했다.


지역별 이용률 현황을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99.1%인 서울 마포구와 울산동구, 군별로는 전남장흥군(98.9%),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는 충남서산시(97.4%), 군별로는 경북영양군(100.0%)이 가장 높았다.


이는 노인에 대한 장기요양 이용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기요양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해당 지자체의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이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을 보면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부산강서구(42.6%), 군별로 경북울릉군(39.1%),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는 충남계룡시(32.1%), 군별로는 경북의성군(11.2%)이 차지했다.



경북 영양군 vs 충북 증평군   

전년과 비교하면 요양시설 이용률은 1.6%p, 주야간보호시설은 2.1%p 증가했다.


지역별로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부산중구(14.3%p), 군별로 전북임실군(18.1%p), 주야간보호시설은 서울광진구(32.4%p), 경북영양군(100.0%p)이 가장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장기요양시설 부족이 예상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인프라 확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지자체로 판단된다.


반면,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경남통영시(-14.1%p), 군별로 전북무주군(-24.3%p),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 인천중구(-35.2%p), 군별로 충북증평군(-40.8%p)이 전년대비 이용률이 가장 많이 하락했다.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매년 발표 추진 

복지부는 향후 지역간 균형성 측면을 위해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을 매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 자료를 통해 해당 지자체가 지역별 적정기관 확보 등 지자체별 목표와 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 수급여건(노인수, 인정자 대비 과잉공급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기관수를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정보→현황)와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www.longtermcare.or.kr→알림·자료실→알림방→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17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이용률(시·구 및 군 구분), 17년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시·구 및 군 구분), 전년 대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이용률 증감, 전년 대비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 증감은 (바로가기)를 참고하면 된다. 



관련기사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506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