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애완견 주인 4명 중 1명 ‘개 알레르기’…가장 흔한 증상 ‘비염’ - 가천대 길병원 이상민 교수팀, 펫 오너 537명 조사 결과
  • 기사등록 2018-03-26 21:13:22
기사수정

애완견 주인 4명 중 1명이 개 알레르기가 있으며, 개와 고양이 알레르기 중 가장 흔한 증상은 비염이었다.


가천대 길병원 내과 이상민 교수팀이 2015년 11월 ‘코리아 펫쇼’에 참석한 개·고양이 주인 537명(성인)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407명의 개 주인 중 103명(25.3%)이 개 알레르기, 130명의 고양이 주인 중 45명(34.6%)이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개 주인은 평균 1.3마리의 개를 키우는데 키우는 개의 숫자는 주인의 개 알레르기 유병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평균 88.0개월간 개를 키운 것으로 조사됐다. 개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평균 67.5개월)보다 개를 소유한 기간이 더 길었다.


고양이 주인은 평균 2.1마리의 고양이를 키우고 있었고, 키우는 고양이 숫자나 평균 고양이 소유 시간에 따른 고양이 주인의 알레르기 발생률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개와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주인에게 가장 흔히 동반되는 증상은 비염, 결막염 순이었다.


개 알레르기가 있는 주인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회피를 위해 개 털 깎기·침대 청소·옷에서 개 털 제거·집안 청소 등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반면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주인은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고양이를 얼굴에 부비거나 고양이와 함께 잠을 자는 행위를 줄이는 등 약간 자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주인은 고양이와의 얼굴 접촉 횟수가 하루 평균 8.6회로, 알레르기가 없는 주인(18.3회)의 절반 정도였다. 고양이와 함께 잠을 자는 비율도 71.7%로, 알레르기 없는 주인(81.2%)보다 적었다.


그러나 고양이의 털을 깎아주거나 침대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일은 소홀하게 했다. 고양이 털 깎기는 연간 평균 1.8회, 침대 청소는 월 1.5회에 그쳤다. 


반면 고양이 알레르기가 없는 주인은 고양이 털 깎기는 연 3.2회, 침대 청소는 월 3.9회 하는 등 상대적으로 ‘위생적’이었다.


개 알레르기가 있는 주인의 35.3%만 의사의 진단을 받고 19.6%만 처방약을 복용했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주인의 의사 진단율은 24.4%에 불과했다. 알레르기 약을 복용 중인 사람은 11.1%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가 공동 발행하는 학술지 AAIR(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최근호에 ‘펫 박람회에 참석한 한국 성인 애완동물 주인의 개·고양이 알레르기와 알레르기 유발물질 회피법’이라는 내용으로 게재됐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소개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78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한국인 수면 시간, OECD 평균보다 18% 부족…“남성 수면 부족, 여성 수면 장애 호소”
  •  기사 이미지 대한가정의학과의사회, 실손보험 개편·비급여 규제에 강력 반발
  •  기사 이미지 2025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30여 개국 전문가 1천명 참석 예정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