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세계 최초 알츠하이머 조기진단 치료결과 평가 지표 개발 - 기억장애 평가지표로 치료 결과 예측까지
  • 기사등록 2018-03-01 01:40:26
기사수정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직무대행 황상구)이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최재용 박사와 인하대병원 이민경 박사 연구팀은 기억과 관련된 신호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뇌 신경전달체계 중 하나로서 학습과 기억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대표적 흥분성 신호전달 물질)를 받아들이는 수용체 중 하나인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뇌에 존재하는 기억과 관련된 신호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받아들이는 수용체 중의 하나로 불안, 우울증, 조현병, 파킨슨병 등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 관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사성의약품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질환 쥐에게 주사한 후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시행했다. 


연구팀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영상을 통해 정상 쥐 보다 알츠하이머병 질환 쥐에서 기억 및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특정부위에서 방사성의약품 섭취가 20% 가량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PET)을 이용해 알츠하이머병에서 기억과 관련된 뇌의 글루타메이트 시스템[기억과 관련된 신호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가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를 통해 전달되는 전체적인 시스템의미]이상을 규명하려는 시도는 최근 해외연구에서도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를 관찰하지 못했다.  


(그림설명 : 정상군과 알츠하이머 질병 모델에서 글루타메이트 시스템의 뇌섭취 비교)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인자로 알려진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독소 단백질 베타아밀로이드의 침착이 기억과 관련된 메타보트로픽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의 감소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 수용체(mGluR5)를 알츠하이머병의 새로운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최재용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상 뇌 세포를 파괴하는 베타아밀로이드와 같은 신경독소가 다른 신경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와 글루타메이트의 치료약물 효과 등 실용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저명한 신경 약리 국제 학술지 ‘뉴로파머콜로지(Neuropharmacology)’ 2월 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유발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지난 수십 년간 연구가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근본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알츠하이머병의 대표적인 증상인 기억 및 인지장애에 관여하는 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436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