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금연 성공자, 심뇌혈관질환 발생 17% , 사망위험 32% 감소 - 분당서울대병원 이기헌, 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팀…국민건강보험공단 …
  • 기사등록 2018-01-30 11:31:58
  • 수정 2018-01-30 11:33:25
기사수정

금연성공자의 경우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위험을 줄이는 것은 물론 심근경색 발생 위험 및 사망위험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팀이(제1저자: 최슬기 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2002~2003년과 2004~2005년에 총 2번 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남성 12만 7,006명을 대상으로 금연 후 혈당증가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위험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했다.


그 결과, 금연 후 혈당이 증가한 사람은 흡연을 계속한 사람에 비해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 위험이 각각 17%와 32% 감소했다.


특히 심근경색증의 발생 및 사망 위험도는 흡연자에 비해 각각 40%, 7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는 “금연 후 혈당이 증가하는 현상이 뒤따르는 것은 맞지만 이는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며, “오히려 금연을 했을 때 심뇌혈관질환 예방측면에서 얻는 이득이 더 크다”고 밝혔다.



이어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기헌 교수는 “담배를 끊은 후 혈당이 올라갈 수 있지만 그렇다 하다라도 금연으로 얻게 되는 심뇌혈관 질환 예방 효과는 뚜렷한 만큼, 여전히 금연은 흡연자에게 있어 제 1의 건강 전략임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제1저자인 최슬기 연구원은 “금연 후 나타나는 신체상 변화들이 여러 중증 만성 질환의 발생과, 그로 인한 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알아보는 후속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출판그룹(Nature Publishing Group)에서 발행하는 권위 있는 의학저널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지 최근호에 발표됐다.


한편 금연을 하게 되면 심장질환, 암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감소하는 등 건강상 이점이 많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금연 초기에는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늘리는 작용을 하는 니코틴의 효과가 사라지면서고 혈당이 올라가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담배를 끊으면 오히려 건강이 나빠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흡연자들이 많다.


이런 가운데 금연으로 인한 혈당 증가와 관계없이,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된 것이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87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