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강기여도…LG전자, 한국전력공사, 삼성중공업 순 - 국민 중요도 대비 건강기여도 낮아…홍보대사 : 남 송중기, 여 김연아 선호
  • 기사등록 2017-12-27 00:32:37
기사수정

국민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비해 기업들의 건강기여도 점수는 낮은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LG전자가 건강기여도 평가 총점에서 1위를 차지했다.  


서울의대·매일경제·한국소비자연맹이 여론조사기관(월드리서치센터)에 의뢰 ‘기업의 건강사회 기여도 평가’에 관한 주제로 일반국민(면접조사)에 대한 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일반국민(1,200명, 면접설문조사)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국민의 건강 기여도 평가에 대한 총점에서 LG전자가 6.59점(10점 만점)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래프)100대 기업 건강기여도 평균(점)


신체적 건강에서는 CJ제일제당(6.75점), 정신적 건강에서는 LG전자(6.72)점, 사회적 건강에서는 신세계(6.70점), 영적 건강에서는 삼성중공업(6.43점)가 1위를 차지했다. 


건강사회공헌 홍보대사에 대한 선호는 남성은 송중기와 유재석, 여성은 김연아와 송혜교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100대 기업에 대해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건강의 4개 영역에 대한 평가결과를 산술평균한 결과 상위 20위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일반국민들은 현재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서 건강부분에 대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기업의 현재 수준은 중요도 대비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의대 윤영호 교수는 “이는 기업의 건강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이 제한적이고, 그에 따라 구체적인 실행수준도 높지 않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단순하게 신체적 건강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 정신적, 사회적, 영적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는 직원들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스트레스 관리나 사회적 관계, 가치 있는 삶에 대한 배려 등에 대한 관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4개 건강영역에 대해 시험적으로 100대 기업에 적용한 결과에서도 일반국민은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건강 각 영역별로 기업에 대해 구체적이고 차별적인 평가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영역에서 1위 기업이 모두 다르게 조사됐으며, 건강영역별 1위 기업 선정의 이유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10점 만점 기준으로 1위 기업과 최하위 기업의 점수 차이가 2점 이상 격차를 보이고 있다.


최근 기업의 각종 활동에 대한 평가는 브랜드나 만족도 또는 사회공헌 활동 측면에 집중되어 있지만, 이번 조사결과를 기준으로 볼 때 일반국민의 건강에 대한 점증하는 관심도가 기업 평가에도 이어져야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기업 건강친화활동 지수’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작업을 통해 소비자의 관심이 반영된 지수가 도입될 경우 기업의 제품/서비스에 대한 건강친화적 요소가 지속적으로 개선/관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경영학의 대가인 하버드 대학 마이클 포터교수의‘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 CSV)’에서 제시되었듯이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의 사업가치(Business Value) 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를 건강영역으로 창출할 필요가 있다. 


윤영호 교수는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건강을 고려하고 증진시키는 적극적인 가치 부여가 미래 기업이 추구해야 할 일이다”며, “이는 기업의 비용 부담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오히려 새로운 가치를 부여해 소비자의 건강을 향상시키고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 사업적 가치도 만들어 낼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이번 조사는 건강공동체문화조성차원에서 소비자의 건강 가치를 부여하는 기업의 건강친화활동과 사업적 가치 향상을 통해 기업문화로 승화시키기 위한 시도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조사는 기업이 제공하는 각종 제품/서비스의 건강관련 측면에 일반국민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판단 하에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건강 등 4개 영역에 걸쳐 중요도와 관련 지표 도입 시 태도 등을 조사했다. 


그 동안 기업의 활동에 대한 측정은 브랜드나 만족도 및 고객에 대한 응대 등 제한적인 측면에서 진행된 반면, 국민의 건강과 관련된 종합적인 인식 및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특히 기업의 다양한 제품/서비스 개발과 고급화로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든 소비자의 생활과 건강에 깊숙이 관여하게 되고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배경하에 기업의 건강사회 기여 수준 평가를 일반국민 1,200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진행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3224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셀트리온, 엔케이맥스,,한국베링거인겔하임, 한국오가논, 한올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5월 제약사 이모저모]신풍제약, 셀트리온, 제일헬스사이언스, 한독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