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 표준치 제시 - 건양대병원 배장호 교수팀 “심뇌혈관 질환 대비에 도움 기대”
  • 기사등록 2017-11-29 20:46:01
  • 수정 2017-11-29 21:35:01
기사수정

한국인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표준치를 제시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건양대병원 심장내과 배장호 교수와 한국표준연구원 김원식 박사팀은 최근 10년간 국내 12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사람들 중 심뇌혈관 질환 증상이 없는 성인 2200여명을 대상으로 측정된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의 평균 두께는 각각 0.696(±0.163)mm와 0.686(±0.167)mm로 나타나 2005년도 값보다 조금 더 두꺼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두꺼워진 내중막 두께를 의미하는 75번째 백분위수는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0.778mm와 0.771mm로 확인됐다. 내중막 두께가 이 값을 넘을 경우 심뇌혈관 질환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배 교수는 “증상이 없는 사람도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경동맥 내중막의 두께를 확인하는 것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심뇌혈관 질환을 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경동맥의 내중막(내막과 중막) 두께는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내중막 두께가 두꺼울수록 혈관의 탄력이 떨어져 이물질이 쉽게 쌓이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심초음파학회에서는 내중막의 두께가 75번째 백분위수(75th percentile) 이상의 값을 두껍다고 정의하고 있고, 유럽심장학회에서는 두께가 0.9mm를 넘는 경우 장기 손상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내중막 두께는 인종과 성별,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한국인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표준화된 수치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되어왔다.


지난 2005년 배장호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국내 정상인의 경동맥 내중막 평균 두께는 0.63mm였고, 35-44세 평균은 0.58mm, 45-55세 평균 두께는 0.63mm, 55-64세의 평균 두께는 0.70mm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했다.


또 남성(0.65mm)이 여성(0.62mm)보다 약간 더 두꺼운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저명 SCI급 저널인 Cardiovascular Therapeutics에 게재됐다.


한편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내중막 두께는 흑인, 백인, 중남미인, 중국인과 비교했을 때 연령에 관계없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89733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동국제약, 멀츠, 온코닉테라퓨틱스, 한올바이오파마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4월 제약사 이모저모]갈더마, 동화약품, 셀트리온, 한소제약, 현대ADM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월 제약사 이모저모]셀트리온, 한미약품, 한국MSD, GC녹십자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