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집옥재에서 듣는 조선의 법궁, 경복궁의 모든 것
  • 기사등록 2017-09-10 23:47:05
  • 수정 2017-09-10 23:47:55
기사수정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소장 우경준)가 오는 9월 13일부터 10월 25일까지 매주 수요일(오후 2~4시) 경복궁 집옥재(集玉齋)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공간, 경복궁’이란 주제로 하반기 ‘집옥재 왕실문화강좌’를 개최한다.

경복궁은 조선왕조 개창 이래 나라를 다스리는 법궁으로 국정의 심의와 집행이 이루어진 곳이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에도 조선의 국왕은 경복궁 빈터를 둘러보며 이를 국정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번 강좌에서는 조선의 법궁, 경복궁에서 펼쳐진 조선의 국정운영 흐름을 살펴볼 예정이다.

‘집옥재 왕실문화강좌’는 총 6개의 강좌로 진행된다.

먼저 개론인 ▲조선의 국정운영과 경복궁(9.13.)을 시작으로, 경복궁을 완성하고 유교정치의 기틀을 마련한 ▲세종, 경복궁 시대를 열다(9.20.), 반정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고 개혁을 시도한 ▲중종, 경복궁에서 중흥을 모색하다(9.27.), 경복궁 빈터를 왕권의 정통성 확립에 활용한 ▲영조, 경복궁 빈터에서 창업을 되새기다(10.11.), 경복궁을 다시 조선을 상징하는 궁궐로 만든 ▲고종, 경복궁을 중건하다(10.18.) 등의 강좌와 함께 문화유산 특강 ▲세종대왕께 답을 얻다(10.25.)가 마련됐다. 

이번 강좌는 누구나 무료(경복궁 입장료는 참가자 부담)로 참여할 수 있지만 집옥재 규모를 고려하여 매회 40명으로 참가 인원이 제한된다.

8월 22일 오전 10시부터 경복궁관리소 누리집(http://www.royalpalace.go.kr)에서 참가 신청을 하거나, 매 강좌 시작 30분 전(오후 1시 30분)부터 선착순(10명)으로 현장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문의 : 경복궁관리소(02-3700-3924)

한편 궁궐은 국왕의 거주 공간인 동시에 국가의 주요 업무가 처리되는 곳으로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경복궁은 조선왕조 500여 년의 시간이 함께했던 역사의 현장이었다.

기본적인 국정 운영과 함께 조선왕조 역사의 순간들이 경복궁을 중심으로 전개됐다. 이번 집옥재 강좌는 경복궁이 나라를 다스리는 공간이자 밀도있는 역사 현장으로 나아가 조선의 정치와 문화를 만날 수 있는 살아있는 장소로 기억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는 앞으로도 경복궁이 국민 누구나 누리고 즐기는 명소이자 역사적인 장소로 기억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운영한다는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03846002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2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셀트리온, 아피메즈US, 파마코바이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1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제약, 셀트리온, 펩트론, 한국애브비, GC녹십자웰빙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3월 18일 병원계 이모저모⑤]성빈센트, 아주대, 중앙대광명, 서남병원 등 소식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대한간학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