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30∼40대 1인 가구 자살생각 위험 4배…50∼60대 우울증상 경험률 2.3배 - 부산의료원 가정의학과팀, 성인 3300여명 조사 결과
  • 기사등록 2017-06-28 02:38:30
  • 수정 2017-06-28 02:41:06
기사수정

30∼40대 1인가구는 같은 연령대 다인(多人)가구에 비해 자살생각 경험률이 4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흡연율(현재 흡연)도 2.6배 높았다.

부산의료원 가정의학과팀이 제6기 국민건강 영양조사(2013∼2014년)에 참여한 30세 이상 한국인 3,323명을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나눈 뒤 각 가구별 건강 행태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 자신의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다’고 한 응답률이 다인가구는 31.2%로 1인가구(17.6%)보다 약 2배 높았다.

우울증상 경험(지난 2주간)과 자살생각(지난 1년간)에선 1인가구가 각각 21.9%·11.3%로 다인가구(각각 10.6%·4.2%)와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고혈압·이상지질혈증·협심증·관절염·당뇨병·우울증 등 의사에 의해 진단된 질병 유병률도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높았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 행태는 연령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30∼40대에선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흡연율·자살생각·고혈압·관절염·우울증이 높았다.

특히 흡연율은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2.6배, 자살생각 경험률은 4배 높게 나타났다.

50∼60대에선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해 흡연율·스트레스 인지율·우울증상 경험률·자살사고율·연간 병의원 미(未)치료율과 고혈압·이상지질혈증, 관절염 유병률이 더 높았다. 

50∼60대 1인가구의 흡연율은 같은 연령대 다인가구보다 2.2배, 우울증상 경험률은 2.3배, 자살생각 경험률은 3.7배였다.

70대 이상에선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건강검진 수진율이 낮고 흡연율·우울증상 경험률·연간 병의원 미치료율과 복부비만·저 HDL 콜레스테롤혈증·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70대 1인가구의 건강검진 수진율은 52.0%로 다인가구(70.4%)보다 훨씬 낮았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건강관리에 더 소홀했다”며. “70대 이상 고령층 뿐 아니라 보다 젊은 층에서도 1인가구의 건강관리·건강상태 위험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30세 이상 1인가구 성인의 건강행태’라는 주제로 발표됐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소개했다. 

한편 통계청에서 발표된 인구주택 총 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의 비율은 2010년 23.9%로, 1995년 12.7%, 2000년 15.5%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25년엔 31.3%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9858511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대한뇌전증학회 “1936년 출시된 약을 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의료 환경 개선” 촉구
  •  기사 이미지 대한뇌전증학회-오콘, MOU 체결…뇌전증 사회적 인식 제고 위한 캐릭터 활용
  •  기사 이미지 한국인 수면 시간, OECD 평균보다 18% 부족…“남성 수면 부족, 여성 수면 장애 호소”
대한골대사학회
대한두경부외과학회
위드헬스케어
캐논메디칼
올림푸스한국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