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가 오는 28일부터 산별총파업을 예고했다.
보건의료노조는 9월 23일 금융노동자들의 총파업과 9월 27일 철도, 지하철, 가스,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총파업에 이어 9월 28일부터 성과연봉제 저지, 보건의료인력지원특별법 제정, 의료민영화 저지를 내걸고 산별총파업 총력투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에 따르면 지난 9월 12일 동시 쟁의조정을 신청한 사업장에서 9월 19일~23일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48개 사업장 1만 2370명 중 9,776명이 투표(투표율 79%)하여, 8,795명이 찬성(90%)하여 압도적인 수치로 총파업이 가결됐다.
보건의료노조는 “파업찬반투표에서 90%의 높은 찬성률은 정부가 추진하는 성과연봉제와 의료민영화에 대한 조합원들의 반대와 분노, 보건의료인력지원특별법 제정에 대한 강력한 요구의 표현이다”고 설명했다.
동시 조정신청에 돌입한 지부 중 이화의료원지부와 조선대병원지부는 지난 주 노사 자율교섭을 통해 원만한 타결을 이루었다.
이에 따라 9월 28일에는 보훈병원, 근로복지공단 직영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시북부병원, 서울시 건강증진센터, 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한양대의료원, 경희의료원 등 49개 사업장이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병원에서의 파업투쟁과 함께 9월 28일 4천여명이 상경하여 국회 앞에서 보건의료노조 파업결의대회를 개최할 것이다”고 밝혔다.
또 “환자안전을 위협하고 의료공공성을 파괴하는 잘못된 정책은 폐기되어야 하며, 국민건강을 지키고 의료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법은 제정되어야 한다”며 ▲병원에 성과연봉제 도입 정책 전면 폐기, 획기적인 보건의료인력 확충정책 추진 ▲정부와 국회는 환자안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민의 병원비 부담 감소 등 일석사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보건의료인력지원특별법을 조속한 제정 ▲의사-환자간 원격의료 허용, 건강보험 개인 질병정보 민간 활용, 건강관리서비스제도 활성화, 의료기관 경영지원 활성화, 외국인 환자 대상 보험상품 판매 허용 등 의료민영화·의료영리화정책을 전면 중단 등을 요구했다.
-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