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순창 병원 내시경 미소독 의혹, 칵테일주사도 확대 해석 - 의협 “C형간염 발병원인 다양하다”…감염경로 다양해도 의사 과실로만 …
  • 기사등록 2016-09-01 23:15:22
  • 수정 2016-09-01 23:17:38
기사수정

최근 잇따라 발생한 C형간염 집단감염 사건과 관련하여 언론보도 등을 통해 잘못 알려진 사실들 때문에 의료계에 대한 국민들의 오해와 불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가 “의사와 의료기관의 과실이 분명한 사안에 대해서는 깊은 유감과 송구함을 갖고 협회 차원의 감염관리 강화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그러나 감염병 확산의 원인과 경로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있기도 전에 무조건 의료기관과 의사의 과실로만 추측하거나, 일부의 문제를 전체 의료계의 문제로 섣불리 확대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지난 8월 31일 전북 순창의 200여명 집단 C형간염 발병 건과 관련해 일부 언론에서는 “승인받지 않은 내시경 소독제를 쓴 게 감염의 원인이다”고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현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의료기관 내 집단감염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의협은 “해당 의료기관은 지난 2006년 개원시부터 기존에 있었던 C형간염 환자들이 내원했고, 그 환자들을 더욱 적극적으로 치료해왔다. 단순히 진료를 본 환자 수만으로 해당 병원에서 집단 발병했다고 발표하여 환자와 국민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의료기관에 대한 불신을 조장했다”며 질본과 일부 언론에 유감을 표명했다.

또 의협은 “내시경 부실 소독을 의혹으로 삼고 의료기관만 집중 추궁하려 들 게 아니라, 의료기관들이 감염관리를 위해 내시경 소독에 더욱 힘쓸 수 있도록 소독수가가 적정하게 책정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또한 주사제 믹스 과정에서 감염이 일어난 사건과 관련해 “비급여 수익을 위해 ‘칵테일 주사’를 무분별하게 시행한 것이 C형간염 집단감염의 원인”이라고 보도한 언론들에 대해서도 의협은 “몇몇 병의원들의 과실이 수액치료를 하는 전체 의료기관들이 마치 비양심적으로 진료하는 것처럼 확대 해석됐다”고 지적했다. 

관련하여 “대다수의 의료기관들이 안전하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수액치료를 하고 있고, 효과를 경험한 환자들의 요청에 의해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형간염의 감염경로는 1992년 이전 수혈이나 장기이식을 받은 경우, 주사용 약물남용, 적절히 소독되지 않은 주사바늘을 포함한 의료기기 및 피어싱이나 침 등을 사용하는 관혈적 시술, 남성간 성교 등 위험성행위 등이 있다.

이외에도 문신 등 무자격자에 의한 불법의료행위, 치과치료, 한방치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C형간염 감염이 일어난 정황이 발견되고 있다.

의협은 “역학조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며 “의료인과 의료기관들이 감염관리에 책임을 갖고 더욱 철저를 기하도록 노력하는 것과 별개로, 기타 감염경로들에 대한 대책을 보건당국이 하루속히 세워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2739275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5월 3일 병원계 이모저모②]고려대의료원, 전북대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멀츠, 바이엘 코리아, 신신제약, 사노피, 한국노바티스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4~5월 제약사 이모저모]한국오가논, 셀트리온, 에스바이오메딕스, 앱티스, 한국다케다제약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대전선병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