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노쇠평가점수 높은 환자, 급성 신 손상 발생률 3.5배 이상 높아 - 분당서울대병원 백선하·김세중·김광일 교수팀, 노쇠 점수 급성신손상예측…
  • 기사등록 2016-08-10 16:08:01
  • 수정 2016-08-10 16:08:31
기사수정

신장 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어 나타나는 급성 신 손상은 소변양의 감소, 부종 등과 더불어 심할 경우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수십 년 동안 건강 증진에 대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급성 신 손상의 발생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에서 급증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내과 백선하(종합내과), 김세중(신장내과), 김광일(노인병내과) 교수팀은 노인 포괄 평가를 통해 해당 지표가 급성 신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급성 신 손상을 예측하는 임상 모델을 만들었다.
(사진 : 분당서울대병원 내과 백선하, 김세중, 김광일 교수팀)

노인 환자는 동일한 연령대에도 다양한 건강 상태를 보일 수 있다. 생리적 예비능이 감소된 상태를 노쇠라 하며 분당서울대병원에서는 입원 또는 수술을 앞둔 환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사회적인 면을 평가하는 ‘노인 포괄 평가’를 실시, 환자의 노쇠 상태를 파악하고 있다.

노인 포괄 평가는 노인의 질환 발생 및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이미 그 유용성이 입증된 바 있는데, 이번에 분당서울대병원 내과 교수팀에서 이러한 노인 포괄 평가가 급성 신 손상의 예측에도 유용성이 있는지 연구를 시행했다.

교수팀은 2013년 한 해 동안 급성 또는 만성 질환 합병증이나 수술로 인해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 중 이전에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제외하고 입원기간 1년 이내에 노인 포괄 평가를 실시한 5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노인 포괄 평가에서 나타난 노쇠 점수(1점-8점)에 따라 총 3개의 그룹(그룹1: 1-2점 / 그룹2: 3-4점 / 그룹3: 5-8점)을 나눠 각 그룹별로 급성 신 손상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비교적 건강한 편에 속하는 그룹1에서는 급성 신 손상 발생률이 4.3%로 나타난 반면, 그룹2에서는 9.5%, 그룹3에서는 17.8%로 나타나며 건강한 노인 환자 대비 노쇠한 환자에서 급성 신 손상 발생률이 무려 3.5배 이상 차이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노쇠 점수가 높을수록 기저 질환에 상관없이 급성 신 손상의 발생률이 높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표)그룹별 급성 신 손상 발생률

백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노쇠 점수를 급성 신 손상 발생 예측 임상 모델로 정립한 최초의 연구로, 추후 노인 입원 환자 진료 시 급성 신 손상 예측에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가 있다”며 “노인 입원 환자에서 노쇠 평가 점수가 높게 나왔을 시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급성 신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하며 추적 관찰을 통해 급성 신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하는데 힘써야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SCI 저널 ‘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7081278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