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슈퍼박테리아 퇴치 기술 개발 - 독성·내성 등으로 사용이 제한된 항생제 재생기술
  • 기사등록 2016-07-20 20:01:45
  • 수정 2016-07-20 20:02:44
기사수정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기존의 독성, 내성 등으로 사용이 제한된 항생제인 폴리믹신에 항암제의 일종인 네트롭신을 혼합하여 병원 내 감염의 주범인 슈퍼박테리아를 퇴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사용 중인 대부분의 항생제는 슈퍼박테리아 내성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제한된 항생제를 다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류충민 박사 연구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내 보유중인 토양 방선균(토양에 흔하게 존재하면서 인간을 질병으로부터 치료할 수 있게 해주는 세균)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물질을 스크린하여 항암제의 일종으로 알려진 ‘네트롭신’이라는 물질을 선별하고, 이를 낮은 농도(기존의 1/8수준)의 폴리믹신과 혼합처리 하여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 baumannii)균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즉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폴리믹신의 농도를 낮추면서도 효과를 극대화해 슈퍼박테리아를 정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은 것이다.

또 동물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꿀벌 집에 기생하는 곤충으로, 최근 동물모델로 각광받고 있는 곤충이다. 벌레의 크기가 손에 잡히고 인체와 동일한 37도에서 자라기 때문에 인체 병원균 실험에 주로 사용)의 애벌레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시험관 내에서 뿐 아니라 동물에서도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류충민 박사는 “기존 약제와의 혼합처리를 통하여 ‘최후의 항생제’를 다시 살릴 수 있는 기술의 예시를 보여준 결과로, 국가사회문제 해결을 기치로 내건 ‘글로벌프런티어사업’과 같은 국책연구원, 병원, 대학의 유기적인 공동연구가 아니었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이번 결과를 이용하여 병원 내 감염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슈퍼박테리아를 퇴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는 국내 보유중인 다양한 생물자원 중에 숨은 진주를 찾듯이 항생제   첨가제를 대량으로 스크린 한다면 효과를 극대화 하면서 안전한 항생제를 재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네트롭신은 항암제로 등록되어 있어 의사의 처방만 있으면 바로 폴리믹신 첨가제로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기존에 다른 용도로 등록된  약제를 기존 항생제와 혼합처리하여 추가적인 임상실험 없이 항생제의 효과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는 생물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네이쳐  사이언티픽 리포트 (Nature Scientific Reports) 6월 16일자(한국시간 6월 17일) 온라인 판에 ‘Combination therapy with polymyxin B and netropsin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본사업과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한편 폴리믹신은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의 감염질환에 탁월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리포펩티드 계열의 항생제로서 인체에 대한 독성(신경 및 신장 독성)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네트롭신은 방선균의 일종인 Streptomyces netropsis라는 세균이 생산하는 물질로 항암제와 항생제로 알려진 화학물질이다.

슈퍼박테리아는 강력한 항생제에도 죽지 않는 인체병원세균(박테리아)으로 다제내성균이라고도 한다.

그림. (a) 토양  내에 존재하는 방선균을 분리한다. (b) 방선균을 배양하여 1,800개 방선균 균주로부터  배양액을 수거하여 각각 보관한다. (c) 방선균 배양액과 폴리믹신을 미생물 모델인 대장균에 처리하였다. 또한 대장균의 생사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염색약을 같이 넣어 폴리믹신B와 배양액을 함께 처리했을 때 대장균을 더 잘 죽이는 방선균 배양액을 찾고자 하였다. (d) 방선균 배양액 내에서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동정한다. (e) 시험관 내에서 선발된 물질 활성 측정. (f) 생물체 내의 활성 측정.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46901233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한국다이이찌산쿄, 한미약품, GC녹십자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 비보존, 신신, 셀트리온,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등 소식
  •  기사 이미지 [7월 제약사 이모저모]동아ST, 머크, 알피바이오, 지씨셀, 큐라클 등 소식
분당서울대병원
아스트라제네카
국립암센터
분당제생병원
경희의료원배너
한림대학교의료원
서남병원
위드헬스케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